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천, 경기 청소년쉼터] 만9세~만24세 청소년! 잠 잘 곳이 필요해요? 밥은 먹었어요? 쉴 곳 알려드릴게요.

 

주저하지 마세요.

도움 받은세요. 당신은 지금 도움이 필요합니다.

부끄러운 일 아닙니다. 밥은 먹고 잠은 자야죠.

지금 힘들고 지친 마음이 있다면 잠시 멈춰도 괜찮아요. 

지금은 숨을 고르는 시간입니다.

조금 쉬어가세요.


청소년 쉼터 정보 알려드릴게요.


▶ 일시청소년 쉼터의 주요기능


    - 24시간 이내 - 최대7일간 보호(상활에 따라 연장 가능) 

    - 기본적이 숙식 제공(식사, 샤워, 세탁 등)

    - 심리상담 및 진로상담

    - 의료지원 및 병원 연계

    - 단기, 중장기 쉼터 또는 가정 복귀 연계

▶ 이용대상


    - 거리 배회 중인 청소년

    - 가출 또는 노숙 중인 청소년

    - 가정폭력, 학대 등 위기 상활에 처한 청소년

▶ 이용 방법


    - 가까운 쉼터에 전화 또는 방문 상담

    - 상담 후 입소 결정

    - 보호 기간 동안 맡춤형 서비스 제공

    - 이후 가정 복귀, 학교 복귀, 자립 지원 등 연계

▶ 문의 전화 

    : 각 센터 연락처 혹은 전화 1388

▶ 홈페이지 

: [청소년1388 바로가기]


▶인천 지역별 위치, 주소, 연락처



1. 인천시 미추홀구


    - 인천광역시남자단기청소년쉼터 바다의 별
        : 인천시 미추홀구 남주길 125번길 5 (032-438-1318)

    - 인천남자중장기청소년쉼터 별마루
        : 인천시 미추홀구 제일로 40번길 85 대창스페이스빌라 가동 401호(032-875-7718)

2. 인천시 부평구


    - 인천광역시일시쉼터 한울타리
        : 인천시 부평구 경인로1059번길 10(032-516-1318)

    - 인천광역시 청소년단기쉼터 우리들
        : 인천시 부평구 아트센터로60번길 4, 201호(032-442-1388)

    - 인청광역시 청소녀단기쉼터 하늘목장
        : 인천시 부평구 수변로 45-2, 201호(032-528-2216)

    - 인천광역시청소년자립지원관 별바라기
        : 인천시 부평구 마장로367번길 40(032-875-1319)


3. 인천시 남동구


    - 인천광역시 청소년여자쉼터 하모니
        : 인천시 남동구 인주대로 801호 5층(032-468-1318)

    - 인천광역시청소년자립지원관 행복자리
        : 인천시 남동구 문화로169번길 40-17, 가림주택 B동 301호(032-467-1398)

    - 인천광역시청소년장기쉼터 예꿈
        : 인천시 남동구 백범로 157번기 34-15 원빌리지 301호(032-465-1393)

4. 인천시 연수구


    - 인천광역시청소년일시쉼터 꿈꾸는 별
        : 인천시 연수구 원인재로 156(032-817-1318)



▶경기도 지역별 위치, 주소, 연락처



1. 경기도 군포


    - 경기남부청소년자립지원관
        : 경기 군포시 군포로 789(031-360-1824)

    - 군포하나로남자중장기청소년쉼터
        : 경기 군포시 군포로 789 온누리청소년센터(031-399-7997)


2. 경기도 의정부시


    - 경기북부청소년자립지원관
        : 경기 의정부시 비우로 12 청소년비전센터 1층(031-928-1316)

    - 의정부시남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의정부시 경의로 56, 유풍빌딩 5층(031-829-1318)

    - 의정부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의정부시 비우로12 청소년비전센터 3,4층(031-837-1318)

    - 의정부시일시청소년쉼터(이동형)
        : 경기 의정부시 신흥로 359 5층(가능동)(031-871-1318)

3. 경기도 고양시


    - 고양시남자단기청소년쉼터(둥지)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견달산로 161번기 77(031-969-0091)

    - 고양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706-37 센텀빌 C동 302호(031-918-1366


4. 경기도 구리시


    - 구리시남자중장기청소년쉼터
        : 경기 구리시 안골로 5, 5층(031-568-1318)

    - 구리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구리시 안골로 32-1(교문동)(031-564-7707)

5. 경기도 김포시


    - 김포시청소년이동쉼터
        : 경기 김포시 걸포로 76 중봉청소년수련관 1층(031-980-1605)

6. 경기도 남양주시


    - 남양주일시청소년쉼터
        : 경기 남양주시 홍유릉로 248번길 39, 다남빌딩 203호(031-591-1319)

    
7. 경기도 부천시

    - 부천시단기청소년쉼터(여자, 모퉁이)
        : 경기 부천시 부일로 763번길 16-23(032-343-1880)

    - 부천시일시청소년쉼터 별사탕
        :경기 부천시 부천로54번길9, 2층(032-654-1318)

8. 경기도 성남시


    - 성남시단기청소년쉼터(남자)
        : 경기 성남시 수정구 위례서일로 12 우남이타워 프라자 8층(032-722-6260)

    - 성남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여자)
        : 경기 성남시 중원구 마지로 29, 럭키주상복합 202호(031-758-1388)

    - 성남시일시청소년쉼터(고정형)
        : 경기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5, 10층(성남동)(031-758-1388)

    - 성남시중장기청소년쉼터(남자)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1151번길 25(031-752-9050)

    - 성남시중장기청소년쉼터(여자)
        : 경기 성남시 중원구 박석로41번길 25(031-758-1720)

    - 성남시청소년자립지원관
        : 경기 성남시 중원구 마지로 28 1층(031-723-7942)

9.경기도 수원시


    - 수원남자단기청소년쉼터(청소년 달보듬터)
        : 경기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261, 3층(세류동, 리치타워)(031-216-8353)

    - 수원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77 송산빌딩 3층(031-232-7982)

10. 경기도 시흥시


    - 시흥시남자단기청소년쉼터(사단법인가치있는누림)
        : 경기 시흥시 시흥대로 1073번길 4-2(031-314-9072)

    - 시흥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시흥시 오동마을로 33 금광빌딩 4층(031-481-8232)

11. 경기도 안산시


    - 안산시남자단기청소년쉼터(징검다리)
        : 경기 안산시 단원구 원포공원1로 35, 501호(031-481-8232)


    - 안산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안산시 상록구 예술대학로8길 17(031-486-0079)

12. 경기도 안양시


    - 안양시남자단기청소년쉼터 FORYOU
        : 경기 안양시 동안구 관악대로 346 코오롱동산타워 상가동 401호(031-455-9182)

    - 안양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호숙
        : 경기 안양시 동안구 경수대로 606, 5층(호계동, 봉성빌딩)(031-468-5141)

    - 안양시일시청소년쉼터 민들레뜨락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263번기 31 3층(031-464-1388)

13.경기도 용인시


    - 용인시단기청소년쉼터(남자, 푸른꿈)
        경기 용인시 수지구 문인로 39번길 7(풍덕천동)(031-276-0770

    - 용인시중장기청소년쉼터(여자, 푸른꿈) 
        : 경기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189번길 4-11(031-264-7733)

14. 경기도 의정부시


    - 의정부시 남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의정부시 경의로 56, 유풍빌딩 5층(031-829-1318)

    - 의정부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의정부시 비우로 \12 청소년비전센터 3,4층(031-837-1318)

    - 의정부시일시청소년쉼터(이동형)
        : 경기 의정부시 신흥로 359, 5층(가능동)(031-871-1318)

15. 경기도 이천시


    - 이천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이천시 영창로 227번길 28 대호2차아파트 111호(031-631-7305)

16.경기도 평택시


    - 평택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평택시 매봉산4길 26, 2층(비전동)(031-652-1384)

17. 경기도 하남시

    - 하남남자중장기청소년쉼터
        : 경기 하남시 대청로 33 현대 베스코아 1001, 1002호(031-791-1337)

18.경기도 화성시


    - 화성여자단기청소년쉼터
        : 경기 화성시 봉담읍 매봉로 478, 대호프라자 303호(031-227-7935)



" 도움을 요청하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지금 필요한 건 용기입니다.
누구든 쉬어갈 권리가 있고, 당신도 예외는 아닙니다.
밥은 먹어야죠.!!!!"



인천광역시, 경기도 청소년쉼터




#인천청소년쉼터 #인천가출청소년 #인천1388 #인천위기청소년 #인천청소년복지 #인천일시보호소 #인천심리상담 #인천긴급쉼터 #인천청소년상담

#경기청소년쉼터 #경기가출청소년 #경기1388 #경기도청소년복지 #경기도쉼터정보 #경기심리상담 #경기일시보호소 #경기도위기청소년







댓글

Most Popular

[2025-2026 독감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독감예방 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나에게 해당되는 날짜 확인하세요.

 9월 부터 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예방주사는 9월 22일을 시작으로 어린이와 어르신, 그리고 취약계층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항체는 백신 접종 후 1~2주 안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항체가 만들어 진 후에는 약 6개월에서 12개월 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매년 독감 접종을 하는 이유는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기에 매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의 예방 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무료 독감예방접종 대상자와 시기를 알려드립니다.-Ai보단사람-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 독감예방접종 1. 어린이 1) 대상 -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2년 1월 1일 출생자~2025년 8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2일부터-Ai보단사람- - 1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9일부터 - 접종 마감 : 2026년 4월 30일 [관련링크 바로가기] -  헷갈리는 아기접종을 보기 편하게 개월 수별로 준비했어요. [주의할 점. 접종시 팁. 링크] 2.만 75세 이상 어르신 1) 대상 - 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2) 접종일 - 2025년 10월 15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3. 만70세~74세 어르신 1) 대상 - 1951년 1월 1일 ~1955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025년 10월 20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4. 만 65세~69세 어르신 1) 대상 - 1956년 1월...

2026년 만 18세 성인이 되는 장애인도 장애인연금 신청하세요. 기준이 완화되고 혜택이 늘어납니다.

 2026년부터 장애인연금 제도가 탄탄해 집니다. 단순한 금액 인상을 넘어, 수급 대상의 확대와 신청 절차의 간소화까지 포함됩니다. 더 많은 중증장애인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의 최소한의 소득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Ai보단사람- 2026년에는 지급 금액 인상, 수급 대상 확대, 신청 절차 간소화 등 여러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신청 자격은요? 2026년에 만 18세가 되는 2008년생 생일을 맞이한 분들이 그 대상입니다. 2026년 1월 1일이 생일이라면 1월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장애정도는 중증장애인으로 기존 1급~2급 또는 이에 준하는 수준입니다. 장애정도는 2030년까지 그 대상을 점점 넓혀나가는 것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Ai보단사람- 소득인정액은 2025년 현재 기준 단독가구 월1,380,000원 이하이고 2026년엔 상향될 예정입니다. 소득∙재산 기준이 완화되면 일부 중산층 장애인의 수급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장애인연금 금액은? 2025 년 현재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가 342,510원이고 시설에 있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라면 부가급여 90,000원을 더해 432,510원 받게 됩니다.  2026년엔 기초급여 기준 최대 434,000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부가급여는 장애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생활비를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에 따라 20,000원에서 100,000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참고로 2025년 현재 주거∙교육급여/차상위 계층의 장애인염금액은 422.510원, 차상위 초과자는 372,510원 입니다. [관련자료 바로가기] -  장애인 차량 등록 방법 알고 가세요. 어렵지 않게 등록 할 수 있어요.'장애인 사용자동...

2025년 10월 13일 현재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안되는 분들 이렇게 해보세요.[요양보호사.장애인활동지원.아동돌보미.건강관리사.이동지원 등]

 2025년 9월 국가정보관리원 화재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앱(APP)이 열리지 않아 결제를 하지 못하고 있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10월 10일 임시복구가 되었다고는 하나 아직 불안정하여 소급결제와 결제가 이루어 지지 않은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이용하고 있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두 안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용불가 시 방법 1. 다시 시작하기 사진의 화살표가 가르키는 곳을 손가락으로 내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네모' 박스 안에 있는 곳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초록색 '다시 시작' 을 눌러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다시 켜줍니다. 화면을 한 번 더 눌러주면 휴대전화가 꺼졌다가 다시 시작 됩니다. 그 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앱을 다시 실행시켜 주시면 됩니다. [관련링크 바로가기] 국가정보원 화재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는 지장이 없을까요? 장애인, 활동지원사 안내. 2. 다시 깔기(삭제 후 재설치) 만약 위의 방법으로 안된다면 '사회서비스 바우처' 앱 을 지우고 다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들어갑니다. 아랫쪽 돋보기를 눌러 검색 합니다. '전자바우처' 를 검색합니다. 이미지를 눌러 위의 화면이 나오면 '제거' 를 눌러 제거합니다.  그 후, '설치' 를 눌러 다시 설치해 줍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로그인 해 줍니다. 3. 와이파이 끄고 실행하기 또다...

[압류방지통장]압류방지통장으로 여러분의 생활비를 지키세요. 개설방법, 주의사항

 '압류방지통장'이란 채권자의 압류로부터 최소한의 생계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목적의 전용 통장입니다. 이 통장으로 들어오는 복지급여를 압류하지 못하게 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Ai보단사람- 다만, 보통의 통장처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약이 따릅니다. '압류방지통장'에 대한 신청법, 이용법 등을 알려드립니다. ☆ 압류방지통장(행복지킴이통장) 1. 목적 - 단순히 '돈을 지키는 것'이 아닌 경제적 약자의 기본적인 삶을 보호하는 것. - 복지급여나 연금이 채권자에 의해 압류되는 것을 방지. - 최소한의 생활비를 안전하게 확보 2. 보호 대상 금액 - 월 입금한도 최대 약 185만 원까지 압류 방지 가능 ----------------------------------------------------------- 압류방지통장에 잔액이 185만 원이 넘는다고 해서 보호가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Ai보단사람- 지난달에 들어온 급여를 쓰지 않고 잔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왔다면 전체 금액이 압류로부터 보호됩니다. 지난달 들어온 급여가 보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온 것이니 그 금액의 추가 보호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압류방지통장의 185만 원 기준은 '월 입금 한도'일 뿐 잔액 한도가 아닙니다. 다만, 입금 출처가 복지급여에 한해 보호 되며 일반자금은 압류 위험이 생기고 통장 기능이 해제 될 수 있으니 급여 입금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3. 출금 - 잔액 한도내에서 제한없이 자유롭게 출금 가능 - ATM, 창구, 앱 등-Ai보단사람- 4. 이체  - 은행 설정에 따라 일일 한도 제한 가능 - 신규 개설 후 일정 기간 동안 이체 제한을 둘 수 있음.(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 목적) - 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