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노인 일자리는 만 60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지원입니다. 어떤 종류가 있는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알려드릴게요.

 아직도 일을 할수 있는 데 일자리를 갖기 어려운 나이가  되면 그 상실감은 매우 큽니다.

단순히 돈을 번다는 의미가 아닌 삶의 질. 정서적 안정이라는 측면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을 응원합니다.


사회참여와 소득을 보전해 주기 위해 정부가 주도하는 복지정책으로서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민간형 등 2025년 기준 110만 개의 일자리가 주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어떤 종류가 있는지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최대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노인일자리 사업의 종류


1. 공익활동형(월 30시간, 약 29만 원)

1) 종류 : 환경 정비, 취약계층 돌봄, 공공시설 안내 등

2) 근무시간 : 월30시간 기준(하루 3시간, 주 2~3회)

3) 수당 : 월 약29만 원

4) 특징 : 비교적 간단하고 지역 밀착형 업무가 대부분입니다.


2. 사회서비스형(월 60시간, 약 76만 원)

1) 종류 : 어린이집 보조, 복지시설 지원, 실버케어 등

2) 근무시간 : 월60시간 이상

3) 수당 : 월 약76만 원

4) 특징 : 전문성과 책임감이 필요한 직무입니다.

[링크 : 아이돌보미 양성교육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바로가기]


3. 시장형 / 민간형 (근무시간에 따라 월 100만 원 이상 가능)

1) 종류 : 민간기업과 연결된 일자리(청소, 경비, 배달, 편의점, 카페 등)

2) 수당 : 근무시간에 따라 월 100만 원 이상 가능


☆ 노인일자리 사업 신청


1. 신청 대상

- 만 60세 이상, 일부 사업 만 65세 이상

- 기초연금 수급자 우선 참여


2. 신청 시기

-매년 12월~2월 사이 모집(지자체별 상이)

- 수시로 중도 모집 함.


3. 신청 방법

- 방문신청 : 주민센터,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노인일자리 여기


4. 준비서류

- 신분증

- 건강보험증

- 참여신청서(현장작성)



----------------------------------------------------------------

노인복지관이나 주민센터에서 신청하는 방법도 있지만 지역별로 운영되고 있는 시니어클럽은 대표적인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입니다.

지역 시니어클럽을 통해서 일자리를 구해보시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 보세요.

원하는 근무시간, 난이도,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선택을 할 수도 있고 상담을 통해 나에게 맞는 일자리를 알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공익활동형은 경쟁률이 높아서 대기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장형이나 민간형은 비교적 수시 모집이 많으니 도전해 보세요.



노인일자리 제도





#노인일자리 #시니어클럽 #공익형일자리 #시장형일자리 #민간연계일자리 #평생교육 #시니어활동 #고령사회대비 #정부지원제도 #어르신복지


댓글

Most Popular

[2025-2026 독감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독감예방 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나에게 해당되는 날짜 확인하세요.

 9월 부터 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예방주사는 9월 22일을 시작으로 어린이와 어르신, 그리고 취약계층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항체는 백신 접종 후 1~2주 안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항체가 만들어 진 후에는 약 6개월에서 12개월 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매년 독감 접종을 하는 이유는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기에 매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의 예방 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무료 독감예방접종 대상자와 시기를 알려드립니다.-Ai보단사람-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 독감예방접종 1. 어린이 1) 대상 -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2년 1월 1일 출생자~2025년 8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2일부터-Ai보단사람- - 1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9일부터 - 접종 마감 : 2026년 4월 30일 [관련링크 바로가기] -  헷갈리는 아기접종을 보기 편하게 개월 수별로 준비했어요. [주의할 점. 접종시 팁. 링크] 2.만 75세 이상 어르신 1) 대상 - 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2) 접종일 - 2025년 10월 15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3. 만70세~74세 어르신 1) 대상 - 1951년 1월 1일 ~1955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025년 10월 20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4. 만 65세~69세 어르신 1) 대상 - 19...

[압류방지통장]압류방지통장으로 여러분의 생활비를 지키세요. 개설방법, 주의사항

 '압류방지통장'이란 채권자의 압류로부터 최소한의 생계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목적의 전용 통장입니다. 이 통장으로 들어오는 복지급여를 압류하지 못하게 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Ai보단사람- 다만, 보통의 통장처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약이 따릅니다. '압류방지통장'에 대한 신청법, 이용법 등을 알려드립니다. ☆ 압류방지통장(행복지킴이통장) 1. 목적 - 단순히 '돈을 지키는 것'이 아닌 경제적 약자의 기본적인 삶을 보호하는 것. - 복지급여나 연금이 채권자에 의해 압류되는 것을 방지. - 최소한의 생활비를 안전하게 확보 2. 보호 대상 금액 - 월 입금한도 최대 약 185만 원까지 압류 방지 가능 ----------------------------------------------------------- 압류방지통장에 잔액이 185만 원이 넘는다고 해서 보호가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Ai보단사람- 지난달에 들어온 급여를 쓰지 않고 잔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왔다면 전체 금액이 압류로부터 보호됩니다. 지난달 들어온 급여가 보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온 것이니 그 금액의 추가 보호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압류방지통장의 185만 원 기준은 '월 입금 한도'일 뿐 잔액 한도가 아닙니다. 다만, 입금 출처가 복지급여에 한해 보호 되며 일반자금은 압류 위험이 생기고 통장 기능이 해제 될 수 있으니 급여 입금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3. 출금 - 잔액 한도내에서 제한없이 자유롭게 출금 가능 - ATM, 창구, 앱 등-Ai보단사람- 4. 이체  - 은행 설정에 따라 일일 한도 제한 가능 - 신규 개설 후 일정 기간 동안 이체 제한을 둘 수 있음.(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 목적) - 한도 조정은 ...

[띠별 나이별 정년나이 퇴직년도]단계적으로 정년 나이를 상향하게 되면 나의 정년은 언제일까요?

 현재 논의 중인 법안에 따르면 정년을 단계적으로 상향시킨다고 합니다. 민주당 박홍배 국회의원이 발의하였고 현제 논의 중입니다. 이것이 통과 된다면 많은 분들의 노후가 좀더 안정적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Ai보단사람- 이 법안은 2027년은 만 63세, 2028년에서 2032년까지는 만 64세, 2033년부터 만 65세로 정년 나이를 올리는 법안입니다. 이에 따라, 2034년에 만 65세가 되는 1968년생이 첫번째로 법정 정년 65세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 법안을 기초로 년생별, 띠별 정년나이를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정년 나이 상향 법안에 따른 띠별 나이별 정년 (2025년 나이 기준 예상 정년 년도) -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정년 연장 예상 적용 하여 계산 하였으며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1. 만 64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 1967년생 -> 현 만 58세 양띠 -> 2031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7년 정년)-Ai보단사람- 2. 만 65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1) 1968년생 -> 현 만 57세 원숭이띠 -> 2033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8년 정년) 2) 1969년생 -> 현 만 56세 닭띠 -> 2034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9년 정년) 3) 1970년생 -> 현 만 55세 개띠 -> 2035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0년 정년)-Ai보단사람- 4) 1971년생 -> 현 만 54세 돼지띠 -> 2036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1년 정년) [관련링크 바로가기] -  아이돌보미를 아세요? 교육, 급여, 센터안내 등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정년 나이는 만 나이로 하...

[상생페이백] 최대 30만 원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페이백 받으세요. 25년 9월부터 11월 카드 소비액 증가분에 대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줍니다.

2025년 9월 15일부터 신청을 받는 '상생페이백'은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집중 지원을 위해 '2024년 월평균 카드소비액 대비 '25년 9월~11월' 월별 카드소비액 증가분에 대해 일정한 지원금을 디지털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다만, 현금, 계좌이체, 간편결제(ㅇㅇ페이), QR결제, 상품권, 민생지원 소비쿠폰 사용액 등은 소비실적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 또는 지자체가 복지∙교육∙육아 등을 위해 지원하는 각종 바우처 사용실적은 상생페이백 소비 실적에 포함됩니다.(국민행복카드, 문화누리카드, 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카드 등) 상생 페이백은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환급 가능합니다.  -Ai보단사람- 대상과 방법 등을 좀 더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상생페이백 1. 신청 대상 - 만 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2024년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국민 - 외국인등록증 보유한 외국인 - 본인 직접 신청 2. 지급금액 - 2024년 월평균 카드사용액 대비 9월~11월 증가분의 20% - 월 최대 10만 원(3개월간 30만 원 한도)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 3. 지급 일시 - 9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 : 10월 15일 지급(10월 9일까지 신청시) - 10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 : 11월 15일 지급 - 11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 : 12월 15일 지급 4. 사용기한 - 지급일로부터 5년간 5. 상생페이백 카드소비액 확인 방법 - 온라인 : [ 상생페이백 바로가기 ]에서 본인인증 후 확인 가능(9월 15일 부터) - 신청지원 및 안내서를 운영하여 디지털 취약계층의 온라인 신청 보조 : 신청 지원 - 전통시장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 -Ai보단사람- : 신청안내 -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및 농축협 영업점 [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