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7년 3월 19일 부터 장애인 자립지원법이 시행됩니다. '장애인 자립 체험시설' 먼저 이용해 보세요.

 장애인 자립지원법이란? 독립을 원하는 장애인에게 주택, 정착금, 자립준비 특별 급여, 전문인력 등을 제공하여 적극적으로 자립을 돕는 제도입니다.


[관련글 바로가기]

장애인도 시설 말고 내집에서 살고 싶어요. 장애인 자립지원법 2025년 제정 2027년 3월 19일 시행!


그 중 하나의 지원제도로서 '장애인 자립체험 시설'이 있습니다.

미리 체험하며 연습하고 자립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시고 독립을 원하신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 자립 체험시설이란?

1. 정의 

- 장애인이 독립된 환경에서 일정 기간 거주하며, 지역사회 생활을 연습하는 공간.

(대부분 소수의 인원과 함께 주중 이용하며, 주말엔 본 가정으로 돌아가는 구조.)


2. 주요 운영 기관들

1) 주관 부처

- 보건복지부

- 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위한 정책 수립 및 법률 시행 총괄


2) 실무 기관

- 한국장애인개발원(보건복지부 산하)

- '중앙장애인지역 사회통합지원센터' 설치. 운영(2021년부터)


3) 자립생활체험 홈 운영

- 장애인생활센터에서 직접 운영

- 비영리기관, 사회복지법인, 장애인 단체에서 운영 중.


3. 이용 대상

- 자립 의지가 있는 중증 장애인(기존 1~3급)


4. 지원 내용

- 요리, 금전관리, 대중교통 이용, 취업준비 등 실생활 훈련

- 동료상담 및 정서적 지원

: 직원, 동료 참가자, 상담자 등 인간적인 연결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 형성.

: 문화활동, 소규모 모임, 대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계 형성 촉진.

- 문화∙여가∙사회활동 경험


5. 체험 기간

-센터마다 유동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최소 6개월에서 최장 2년까지 운영 됨.


☆ 신청 방법

1. 자격

- 장애인 등록증 소지자, 자립 의지 있는 만 19세 이상 장애인


2. 서류 제출

- 장애인등록증 또는 복지카드

- 주민등록등본

- 건강검진표 및 소득증명서


3. 신청처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각 지역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방문 또는 전화 문의.접수


☆  전국 자립 체험시설 (2025년 기준)

1. 서울

- 양천구 사람사랑 양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02-2608-2979)


2. 경기

- 양평읍 양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031-775-6672)

- 성남시 중원구 중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0507-1420-7864)

-남양주시 다산동 남양주다산장애인 자립생활센터(070-7530-4407)

- 김포시 운양동 김포하나 IL센터(하나가치 홈스테이운영) (070-5018-5216)

- 광명시 하안동 광명장애인자립생활센터(02-2684-4830)

- 군포시 금정동 군포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031-399-2541)


3. 대전

- 대전 서구 한밭장애인자립생활센터(042-486-2373)


4. 경상북도

- 경북 경주시 경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054-775-6622)


5. 충청북도

- 옥천읍 옥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043-731-7775)


6. 인천

- 남동구 만수동 누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032-719-8008)


그외에도 많은 센터들이 운영 중이며 대부분 비영리법인, 복지재단, 장애인단체, 지역 복지관에서 자립생활센터와 협력하거나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7년 3월 19일 '장애인 자립지원법'이 시행되면 좀 더 많은 센터들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아직 제정은 됐으나 시행 준비 단계인만큼 기대에 부흥하기에는 조금 부족한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느 장애인 시설처럼 뭔가 부족한 듯 하지 않게 잘 준비되어 제대로 장애인들의 자립생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립지원센터 자립연습



#장애인자립지원법 #자립생활센터 #자립체험홈 #중증장애인 #독립생활훈련 #자립지원정책 #복지정보 #체험홈신청 #사회통합 #거주시설전환 #장애인복지 #장애인주거권 #사람중심복지 #자립생활


댓글

Most Popular

[2025-2026 독감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독감예방 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나에게 해당되는 날짜 확인하세요.

 9월 부터 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예방주사는 9월 22일을 시작으로 어린이와 어르신, 그리고 취약계층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항체는 백신 접종 후 1~2주 안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항체가 만들어 진 후에는 약 6개월에서 12개월 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매년 독감 접종을 하는 이유는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기에 매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의 예방 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무료 독감예방접종 대상자와 시기를 알려드립니다.-Ai보단사람-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 독감예방접종 1. 어린이 1) 대상 -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2년 1월 1일 출생자~2025년 8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2일부터-Ai보단사람- - 1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9일부터 - 접종 마감 : 2026년 4월 30일 [관련링크 바로가기] -  헷갈리는 아기접종을 보기 편하게 개월 수별로 준비했어요. [주의할 점. 접종시 팁. 링크] 2.만 75세 이상 어르신 1) 대상 - 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2) 접종일 - 2025년 10월 15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3. 만70세~74세 어르신 1) 대상 - 1951년 1월 1일 ~1955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025년 10월 20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4. 만 65세~69세 어르신 1) 대상 - 19...

[압류방지통장]압류방지통장으로 여러분의 생활비를 지키세요. 개설방법, 주의사항

 '압류방지통장'이란 채권자의 압류로부터 최소한의 생계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목적의 전용 통장입니다. 이 통장으로 들어오는 복지급여를 압류하지 못하게 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Ai보단사람- 다만, 보통의 통장처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약이 따릅니다. '압류방지통장'에 대한 신청법, 이용법 등을 알려드립니다. ☆ 압류방지통장(행복지킴이통장) 1. 목적 - 단순히 '돈을 지키는 것'이 아닌 경제적 약자의 기본적인 삶을 보호하는 것. - 복지급여나 연금이 채권자에 의해 압류되는 것을 방지. - 최소한의 생활비를 안전하게 확보 2. 보호 대상 금액 - 월 입금한도 최대 약 185만 원까지 압류 방지 가능 ----------------------------------------------------------- 압류방지통장에 잔액이 185만 원이 넘는다고 해서 보호가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Ai보단사람- 지난달에 들어온 급여를 쓰지 않고 잔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왔다면 전체 금액이 압류로부터 보호됩니다. 지난달 들어온 급여가 보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온 것이니 그 금액의 추가 보호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압류방지통장의 185만 원 기준은 '월 입금 한도'일 뿐 잔액 한도가 아닙니다. 다만, 입금 출처가 복지급여에 한해 보호 되며 일반자금은 압류 위험이 생기고 통장 기능이 해제 될 수 있으니 급여 입금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3. 출금 - 잔액 한도내에서 제한없이 자유롭게 출금 가능 - ATM, 창구, 앱 등-Ai보단사람- 4. 이체  - 은행 설정에 따라 일일 한도 제한 가능 - 신규 개설 후 일정 기간 동안 이체 제한을 둘 수 있음.(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 목적) - 한도 조정은 ...

[띠별 나이별 정년나이 퇴직년도]단계적으로 정년 나이를 상향하게 되면 나의 정년은 언제일까요?

 현재 논의 중인 법안에 따르면 정년을 단계적으로 상향시킨다고 합니다. 민주당 박홍배 국회의원이 발의하였고 현제 논의 중입니다. 이것이 통과 된다면 많은 분들의 노후가 좀더 안정적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Ai보단사람- 이 법안은 2027년은 만 63세, 2028년에서 2032년까지는 만 64세, 2033년부터 만 65세로 정년 나이를 올리는 법안입니다. 이에 따라, 2034년에 만 65세가 되는 1968년생이 첫번째로 법정 정년 65세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 법안을 기초로 년생별, 띠별 정년나이를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정년 나이 상향 법안에 따른 띠별 나이별 정년 (2025년 나이 기준 예상 정년 년도) -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정년 연장 예상 적용 하여 계산 하였으며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1. 만 64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 1967년생 -> 현 만 58세 양띠 -> 2031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7년 정년)-Ai보단사람- 2. 만 65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1) 1968년생 -> 현 만 57세 원숭이띠 -> 2033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8년 정년) 2) 1969년생 -> 현 만 56세 닭띠 -> 2034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9년 정년) 3) 1970년생 -> 현 만 55세 개띠 -> 2035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0년 정년)-Ai보단사람- 4) 1971년생 -> 현 만 54세 돼지띠 -> 2036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1년 정년) [관련링크 바로가기] -  아이돌보미를 아세요? 교육, 급여, 센터안내 등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정년 나이는 만 나이로 하...

[상생페이백] 최대 30만 원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페이백 받으세요. 25년 9월부터 11월 카드 소비액 증가분에 대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줍니다.

2025년 9월 15일부터 신청을 받는 '상생페이백'은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집중 지원을 위해 '2024년 월평균 카드소비액 대비 '25년 9월~11월' 월별 카드소비액 증가분에 대해 일정한 지원금을 디지털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다만, 현금, 계좌이체, 간편결제(ㅇㅇ페이), QR결제, 상품권, 민생지원 소비쿠폰 사용액 등은 소비실적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 또는 지자체가 복지∙교육∙육아 등을 위해 지원하는 각종 바우처 사용실적은 상생페이백 소비 실적에 포함됩니다.(국민행복카드, 문화누리카드, 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카드 등) 상생 페이백은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환급 가능합니다.  -Ai보단사람- 대상과 방법 등을 좀 더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상생페이백 1. 신청 대상 - 만 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2024년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국민 - 외국인등록증 보유한 외국인 - 본인 직접 신청 2. 지급금액 - 2024년 월평균 카드사용액 대비 9월~11월 증가분의 20% - 월 최대 10만 원(3개월간 30만 원 한도)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 3. 지급 일시 - 9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 : 10월 15일 지급(10월 9일까지 신청시) - 10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 : 11월 15일 지급 - 11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 : 12월 15일 지급 4. 사용기한 - 지급일로부터 5년간 5. 상생페이백 카드소비액 확인 방법 - 온라인 : [ 상생페이백 바로가기 ]에서 본인인증 후 확인 가능(9월 15일 부터) - 신청지원 및 안내서를 운영하여 디지털 취약계층의 온라인 신청 보조 : 신청 지원 - 전통시장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 -Ai보단사람- : 신청안내 -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및 농축협 영업점 [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