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을 축하합니다. 태아당 100만 원 지원 받으세요.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링크, 금액,

 임신하게 되면 변하는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몸의 변화가 가장 크겠지만 사실 임신 초기엔 신체의 변화보다는 생활 패턴의 변화가 가장 크죠.

매달 병원에 방문하여 검진을 하고 출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를 위한 외출보다는 아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외출도 많아집니다. 정부에서는 이런 임신∙출산 가정을 위해 여러가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관련링크 - 2025 임산부 교통비 바우처 총정리. 지역별 지원금. 확인해야 할 팁]


그 중,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는 산모와 태아의 진료비를 지원하여 건강한 임신∙출산을 준비하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1. 지원대상 (건강보험공단 운영)

-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이 확인된 자.

- 2세 미만 영유아의 법정대리인.-Ai보단사람-

- 다태아 임신부, 청소년 산모, 외국인 등록증 소지자 포함.


[별지 제3호]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추가 지급 신청서 (암호 : not-ai-iam-human.com)


2. 지원내용(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진료비 지원)

- 기본 지원금

: 임신 1회당 100만 원, 다태아의 경우 140만 원 지원

--------------------------------------------

다태아의 경우 태아당 100만 원이 되도록 140만 원에 추가 금액이 지급됨.

예를 들어, 

쌍태아의 경우 지원금 140만 원에 추가금 60만 원으로 200만 원 지원.

삼태아의 경우 지원금 140만 원에 추가금 160만 원을 추가 지원하여 300만 원 지급됩니다.

일부 게시글에서 100만 원에 140만 원을 추가하는 것으로 잘못 기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태아당 100만 원의 지원금이 나온다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

- 분만취약지 거주자

: 20만 원 추가 지원


- 사용기간

: 출산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 가능, 출산 전 신청 시 출산 예정일로부터 2년.


- 사용 범위

: 임신∙출산 관련 진료비, 약제∙치료재료 구입비, 2세 미만 영유아 진료비 등


3.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 '임신확인서' 발급(산부인과)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사 방문 신청

- 온라인 신청

: 병원이 정보를 입력하면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공단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 국민행복카드

1. 발급 카드사(온라인으로 임신.출산 확인을 받은 경우)

- BC카드 바로가기

(농협 1644-4000, 우체국 1599-1900, 우리카드 1588-9955, 하나카드1800-1111, 제주은행 1588-0079)

- 삼성카드 바로가기, 전화 1566-3336

- 롯데카드 바로가기, 전화 1899-4282-Ai보단사람-

- KB국민카드 바로가기, 전화 1599-7900

- 신한카드 바로가기, 전화 1544-8868

- 사용 잔액 확인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1577-1000) 또는 카드사 콜센터에서 가능.

-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자동 충전 방식.


2. 사용 범위

- 임산부의 본인 부담금(급여∙비급여) 진료비, 약제, 치료재료 구매 시.

- 2세 미만 영유아의 진료비.


3. 사용 제한

- 진단서 발급, 의약외품 등 의료 목적 외 항목은 사용 불가.

- 타인 사용 불가. 본인만 사용 가능.

- 건강보험 자격이 정지되거나 상실된 상태에선 카드사용 제한됨.

: 공단 방문, 자격 재취득 신고 필요.

- 인공임신중절수술 시 사용 제한. 

단, 「모자보건법」이 허용하는 사유일 경우는 사용 가능.

---------------------------------------

✳ 「모자보건법」14조 기준 인공임신중절 허용 사유

: 본인 혹은 배우자가 유전성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을 가진경우

: 본인 혹은 배우자가 풍진, 톡소플라즈마증 등 태아에 위험한 전염성 질환을 가진 경우

: 성폭력으로 인해 임신된 경우

: 임신 지속이 모체의 생명이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


출산 후 신청을 할 경우 1개월 이내에 신청을 하세요.

출생증명서나 출생신고가 돼 있다면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을 함께 제출하셔야 아이의 진료비로 사용 가능합니다.-Ai보단사람-

기존 신청 이력이 있는 경우 '별도의 임신'임을 신청서에 명확히 기재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서류는 신청 기준일 7일전 발급된 서류만 유효합니다. 서류 발급 날짜도 잘 챙기세요.

요즘은 병원에서 '요양기관 정보마당'에 입력을 해주면 신청이 더 수월하다고 하더군요.

임신 중에도 출산 후에도 몸 잘 챙기시고!

새로운 가족을 맞이한 당신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관련링크 - 임신∙출산 진료비 온라인 신청 국민건강보험 바로가기]


임신.출산 진료비지원


[참고자료- 분만 취약지역 29곳]

- 인천

: 옹진군


- 경기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 강원-Ai보단사람-

: 홍천군, 인제군, 정선군, 평창군, 화천군


- 충북

: 보은군, 괴산군, 단양군


- 전북

: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 전남

: 보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대구

: 군위군


- 경북

: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울릉군


- 경남

: 의령군, 남해군, 합천군





#임신지원금 #다태아혜택 #국민행복카드 #출산지원정책 #산모복지 #임산부진료비 #2세유아진료비 #2025출산제도 #보건복지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