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디딤씨앗통장] 아이의 자립 준비. 5만원 입금하면 정부가 10만원 지원. 10년후 15년 후 계산까지 도와드려요.

 디딤씨앗통장이란 취약계층 아동의 자립을 돕기 위한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

아동이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매칭하여 자립 준비를 도와주는 제도이며 만 18세 미만 아동에게 지원됩니다.-Ai보단사람-

취약계층 아동이 사회진출 할 때 필요한 학자금, 취업, 창업, 주거마련 등 자립초기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산형성을 적극적∙장기적으로 지원하고자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디딤씨앗통장은 '아동의 새 희망과 큰 꿈을 실현하는데 디딤이 되는 종자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디딤씨앗통장(CDA)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CDA : Child Development Account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 육성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추진

1. 지원 대상

1) 보호대상 아동

- 만 18세 미만

- 아동복지시설 보호 아동(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 가정위탁 보호 아동

- 장애인생활시설 아동

- 소년소녀가정 아동

2)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아동

- 만 0세~17세 아동

-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 가구 아동

- 한부모가족 가정 아동

(모자가족, 조손가족, 부자가족, 청소년한부모모자가족, 청소년한부모부자가족)

- 신규 선정 후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


3) 가정복귀 및 탈수급 아동

- 보호 중 가정으로 복귀한 아동도 계속 지원

- 수급 자격 중지된 가정의 아동도 계속 지원-Ai보단사람-

- 입양아의 경우 '가정복귀'로 변경하여 계속 지원 가능하나 입양부모 희망 시 '중도해지' 선택 가능.

(해외 입양 시 원칙적으로 '중도해지' - 해지 시 정부매칭금은 환수 처리.)


2. 서비스 내용

1) 기본 매칭 적립

- 월 5만 원 적립 시 정부가 월 10만 원 지원(1:2 매칭)

- 정부 매칭은 월 5만 원까지 가능.

- 디딤씨앗통장 가입 시부터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생일 속한 달까지 지원 후 지원 종료)

- 중도해지는 원칙적으로 불가 함.


2) 추가 적립 가능

- 월 최대 50만 원까지 적립 가능.(연간 600만 원)

- 추가 적립액에 대한 정부 매칭 없음.


3. 적립금 사용 용도

1) 만 18세(만기) 이후

- 학자금, 기술자격 및 취업훈련비용, 창업지원금, 주거마련 지원 등 자립을 위한 용도에 한하여 사용 가능

2) 만 24세까지

- 학자금∙기술자격취득∙주거마련 등 자립사용 용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Ai보단사람-

- 만 24세 도달 시 사용 용도 제한 없이 아동 적립금 및 매칭 지원금의 지급 가능.


3) 세부 사용 용도

- 학자금

- 기술자격 및 취업훈련 비용

- 창업지원금

- 주거마련 지원

- 의료비 지원

- 결혼지원

- 기타 아동 자립지원을 위해 적립금 사용이 필요하다고 시∙군∙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

- 예외적으로 생계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지급 가능.

- 보호대상아동이 정부지원 자산형성사업∙주택청약저축∙일반 예∙적금 등의 가입을 위하여 신청하는 경우.


4. 신청 방법

1) 온라인

- [복지로 디딤씨앗통장 신청 바로가기]에서 신청 가능


2) 오프라인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Ai보단사람-


5. 처리 절차

1)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시∙군∙구)

2)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매월)

3) 대상자 확정

4) 서비스 지원(통장발급)

5) 서비스 사후 관리


[관련링크 바로가기]

힘내세요. 잘하고 계십니다. 한부모 가정지원,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2025년] 내용. 링크. 모두 알려드려요.

6. 통장 발급

- 대상자 확정 후 신한은행을 통해 통장 개설

- 신한은행 고객센터 전화 1599-8000

- 통장 개설 및 적립금 인출 시 해당 지자체의 승인서 필요.


7. 조기 인출

- 만 13세 이상

- 가입기간 1년 이상 아동에 한해 5회까지 조기 인출 가능

- 아동 적립금만 인출 가능

- 학자금, 기술자격 및 취업훈련, 의료비 지원 비용에 한해 인출 가능.


8. 중도 해지 가능 사유

- 아동의 사망, 이민, 입양 및 이에 준하는 사유로 시∙군∙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가능.

- 만 24세 전 사망 시 적립금 사용 용도 요건 불충족으로 아동적립금만 지급.-Ai보단사람-

- 만 24세 이후 사망 시 아동적립금 및 정부 매칭지원금 지급.

9. 이율(해지 시점)

1) 만 18세~20세 미만

- 1년제 일반 정기적금 만기 후 이율 + 0.9%


2) 만 20세~22세 미만

- 1년제 일반 정기적금 만기 후 이율 + 0.7%


3) 만 22세 ~ 24세 미만

- 1년제 일반 정기적금 만기 후 이율 + 0.5%


4) 만 24세 이상

- 1년제 일반 정기적금 만기 후 이율(추가 가산 없음.)


10. 적립금 액수에 따른 적립기간별 적립액 예시(이자 제외)

1) 월 3만 원 적립 시

- 1년
: 아동 36만 원 + 정부 72만 원 = 총 108만 원

- 5년

: 아동 180만 원 + 정부 360만 원 = 총 540만 원

- 10년

: 아동 360만 원 + 정부 720만 원 = 총 1,080원-Ai보단사람-

- 15년

: 아동 540만 원 + 정부 1,080만 원 = 총 1,620만 원

- 18년

: 아동 648만 원 + 정부 1,296만 원 = 총 1,944만 원

2) 월 5만 원 적립 시

- 1년
: 아동 60만 원 + 정부 120만 원 = 총 180만 원

- 5년

: 아동 300만 원 + 정부 600만 원 = 총 900만 원

- 10년

: 아동 600만 원 + 정부 1,200만 원 = 총 1,800원

- 15년

: 아동 900만 원 + 정부 1,800만 원 = 총 2,700만 원

- 18년

: 아동 1,080만 원 + 정부 2,160만 원 = 총 3,240만 원


아동의 저축액에 대한 정부의 매칭금액은 매월 20일 이후 입금되며 신한은행에서 통지합니다. 인터넷 뱅킹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중도 혹은 만기 해지를 해야할 경우 지자체의 승인서가 반드시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셔서 은행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선정 후 신한은행을 통해 통장 개설을 가능합니다.-Ai보단사람-

잔액 확인은 통장정리나 신한은행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

아이의 미래에 나라의 지원이 큰 힘이 되길 바랍니다.

[ 참고 자료 : 2025년 아동분야 사업 안내]


디딤씨앗통장




#디딤씨앗통장 #아동자산형성 #아동복지 #정부지원 #자립준비 #신한은행 #복지로 #미래설계 #아동발달지원계좌 #자산형성통장


댓글

Most Popular

[2025-2026 독감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독감예방 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나에게 해당되는 날짜 확인하세요.

 9월 부터 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예방주사는 9월 22일을 시작으로 어린이와 어르신, 그리고 취약계층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항체는 백신 접종 후 1~2주 안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항체가 만들어 진 후에는 약 6개월에서 12개월 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매년 독감 접종을 하는 이유는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기에 매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의 예방 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무료 독감예방접종 대상자와 시기를 알려드립니다.-Ai보단사람-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 독감예방접종 1. 어린이 1) 대상 -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2년 1월 1일 출생자~2025년 8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2일부터-Ai보단사람- - 1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9일부터 - 접종 마감 : 2026년 4월 30일 [관련링크 바로가기] -  헷갈리는 아기접종을 보기 편하게 개월 수별로 준비했어요. [주의할 점. 접종시 팁. 링크] 2.만 75세 이상 어르신 1) 대상 - 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2) 접종일 - 2025년 10월 15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3. 만70세~74세 어르신 1) 대상 - 1951년 1월 1일 ~1955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025년 10월 20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4. 만 65세~69세 어르신 1) 대상 - 1956년 1월...

2026년 만 18세 성인이 되는 장애인도 장애인연금 신청하세요. 기준이 완화되고 혜택이 늘어납니다.

 2026년부터 장애인연금 제도가 탄탄해 집니다. 단순한 금액 인상을 넘어, 수급 대상의 확대와 신청 절차의 간소화까지 포함됩니다. 더 많은 중증장애인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의 최소한의 소득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Ai보단사람- 2026년에는 지급 금액 인상, 수급 대상 확대, 신청 절차 간소화 등 여러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신청 자격은요? 2026년에 만 18세가 되는 2008년생 생일을 맞이한 분들이 그 대상입니다. 2026년 1월 1일이 생일이라면 1월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장애정도는 중증장애인으로 기존 1급~2급 또는 이에 준하는 수준입니다. 장애정도는 2030년까지 그 대상을 점점 넓혀나가는 것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Ai보단사람- 소득인정액은 2025년 현재 기준 단독가구 월1,380,000원 이하이고 2026년엔 상향될 예정입니다. 소득∙재산 기준이 완화되면 일부 중산층 장애인의 수급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장애인연금 금액은? 2025 년 현재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가 342,510원이고 시설에 있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라면 부가급여 90,000원을 더해 432,510원 받게 됩니다.  2026년엔 기초급여 기준 최대 434,000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부가급여는 장애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생활비를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에 따라 20,000원에서 100,000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참고로 2025년 현재 주거∙교육급여/차상위 계층의 장애인염금액은 422.510원, 차상위 초과자는 372,510원 입니다. [관련자료 바로가기] -  장애인 차량 등록 방법 알고 가세요. 어렵지 않게 등록 할 수 있어요.'장애인 사용자동...

2025년 10월 13일 현재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안되는 분들 이렇게 해보세요.[요양보호사.장애인활동지원.아동돌보미.건강관리사.이동지원 등]

 2025년 9월 국가정보관리원 화재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앱(APP)이 열리지 않아 결제를 하지 못하고 있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10월 10일 임시복구가 되었다고는 하나 아직 불안정하여 소급결제와 결제가 이루어 지지 않은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이용하고 있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두 안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용불가 시 방법 1. 다시 시작하기 사진의 화살표가 가르키는 곳을 손가락으로 내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네모' 박스 안에 있는 곳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초록색 '다시 시작' 을 눌러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다시 켜줍니다. 화면을 한 번 더 눌러주면 휴대전화가 꺼졌다가 다시 시작 됩니다. 그 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앱을 다시 실행시켜 주시면 됩니다. [관련링크 바로가기] 국가정보원 화재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는 지장이 없을까요? 장애인, 활동지원사 안내. 2. 다시 깔기(삭제 후 재설치) 만약 위의 방법으로 안된다면 '사회서비스 바우처' 앱 을 지우고 다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들어갑니다. 아랫쪽 돋보기를 눌러 검색 합니다. '전자바우처' 를 검색합니다. 이미지를 눌러 위의 화면이 나오면 '제거' 를 눌러 제거합니다.  그 후, '설치' 를 눌러 다시 설치해 줍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로그인 해 줍니다. 3. 와이파이 끄고 실행하기 또다...

[압류방지통장]압류방지통장으로 여러분의 생활비를 지키세요. 개설방법, 주의사항

 '압류방지통장'이란 채권자의 압류로부터 최소한의 생계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목적의 전용 통장입니다. 이 통장으로 들어오는 복지급여를 압류하지 못하게 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Ai보단사람- 다만, 보통의 통장처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약이 따릅니다. '압류방지통장'에 대한 신청법, 이용법 등을 알려드립니다. ☆ 압류방지통장(행복지킴이통장) 1. 목적 - 단순히 '돈을 지키는 것'이 아닌 경제적 약자의 기본적인 삶을 보호하는 것. - 복지급여나 연금이 채권자에 의해 압류되는 것을 방지. - 최소한의 생활비를 안전하게 확보 2. 보호 대상 금액 - 월 입금한도 최대 약 185만 원까지 압류 방지 가능 ----------------------------------------------------------- 압류방지통장에 잔액이 185만 원이 넘는다고 해서 보호가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Ai보단사람- 지난달에 들어온 급여를 쓰지 않고 잔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왔다면 전체 금액이 압류로부터 보호됩니다. 지난달 들어온 급여가 보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달 급여가 들어온 것이니 그 금액의 추가 보호가 시작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압류방지통장의 185만 원 기준은 '월 입금 한도'일 뿐 잔액 한도가 아닙니다. 다만, 입금 출처가 복지급여에 한해 보호 되며 일반자금은 압류 위험이 생기고 통장 기능이 해제 될 수 있으니 급여 입금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3. 출금 - 잔액 한도내에서 제한없이 자유롭게 출금 가능 - ATM, 창구, 앱 등-Ai보단사람- 4. 이체  - 은행 설정에 따라 일일 한도 제한 가능 - 신규 개설 후 일정 기간 동안 이체 제한을 둘 수 있음.(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 목적) - 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