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미소금융 대출] 신용등급이 낮아도 담보가 없어도 저금리로 대출 가능. 상품 종류, 센터 위치

 미소금융은 정부가 운영하는 서민금융지원 제도 중 하나입니다.

저신용자, 저소득층이 무담보∙무보증으로 대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미소금융의 대출 종류와 조건 등 모두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미소금융 대출 기본 조건

1. 운영기관

- 서민금융진흥원


2. 지원대상

- 개인신용평점 하위 20%

: NICE 기준 749점 이하, KCB 기준 700점 이하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Ai보단사람-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보유자

- 만 20세 이상 내국인

3. 대출 자격 제외 대상

- 신용정보전산망에 신용도 판단정보 또는 공공정보가 등재된 자

(신용도 판단정보 - 연체, 부도, 금융사기 등의 기록, 공공정보 - 세금 체납, 건강보험료 미납 등 공공기관 관련 정보)

- 이미 미소금융 또는 정부∙지자체∙금융회사로부터 유사한 금융지원을 받은 자

- 채무이행 회피, 재산은닉, 책임재산 감소 행위 등 부정 경력이 있는 자

- 신청인의 재산에 가등기, 압류, 가처분, 경매 등 법적 절차가 진행 중인 자

- 재외국민, 외국인, 해외체류자

- 중소벤처기업부가 공고한 '융자제외업종'을 창업 예정 또는 운영 중인 자

- 사회 통념상 저소득∙저신용층으로 보기 어렵거나, 대출 취지에 부합하지 않은 자


☆ 금융 상품

1. 창업자금 대출

1) 대상

- 창업 예정자 또는 창업 후 6개월 미만 자영업자


2) 용도

- 사업장 임차보증금

: 소요자금 총액 중 자기자금 비율이 50%이상인 자.


- 창업 초기 운영자금, 시설자금(사업자 등록 후 6개월 미만)-Ai보단사람-

: 최초대출금 1천만 원 이내 지원, 성실히 상환하는 자에 한해 추가 지원


- 생계형 차량(1톤 이하)구입

: 최대 2천만 원 이내(무등록사업자의 경우 최대 1천만 원)


- 사업자등록이 없는 무등록사업자

: 최대 5백만 원 이내

3) 한도

- 최대 7천만 원(생계형 차량은 2천만 원)


4) 금리

- 연4.5%(1년 거치, 5년이내 상환)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5) 특이사항

- 무등록 사업자도 신청 가능(단, 한도 500만 원, 금리 2%)

- 자기자금 50%이상일 경우 임차보증금 지원 가능


2. 운영자금 대출

1) 대상

- 사업자등록 이후 6개월 이상 운영 중인 자영업자


2) 용도

- 제품∙원재료∙반제품 구입 등 사업 운영비-Ai보단사람-


3) 한도

- 최대 2천만 원

: 프리랜서 최대 1천만 원, 무등록 사업자 최대 500만 원(금리 2.0%)


4) 금리 

- 연4.5%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5) 기간

- 최대 5.5년(거치6개월 + 상환5년)


3. 시설개선자금 대출

1) 대상

- 사업자등록 후 6개월 이상 운영 중인 자영업자


2) 용도

- 인테리어, 장비 교체 등 사업장 환경 개선

3) 한도

- 최대 2천만 원


4) 금리

- 연4.5%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5) 기간

- 최대 5.5년(거치6개월 + 상환 5년)


4. 긴급생계자금 대출

1) 대상

- 미소금융 상품을 12회 이상 성실 상환한 기존 고객


2) 용도

- 의료비, 생계비 등 긴급 자금-Ai보단사람-


3) 한도

- 최대 1천만 원


4) 금리

- 연4.5%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5) 기간

- 최대 5년(거치 1년 + 상환 4년)


6) 조건

- 신청일 기준 연체 없는 성실상환자

- 신용평점 하위 20% 또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5. 교육비지원 대출

1) 대상

- 초∙중∙고 자녀를 둔 부모


2) 용도

- 학원비, 교재비 등 교육 관련 비용


3) 한도

- 최대 500만 원

4) 금리

- 연4.5%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5) 특이사항

- 자녀 재학증명서 및 교육비 내역 필요


6. 취약계층자립자금

1) 대상

- 장애인,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등


2) 용도

- 생계 및 자립 기반 마련


3) 한도

- 최대 1,200만 원


4) 금리

- 연3.0%이하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Ai보단사람-


5) 특이사항

- 관련 증빙서류 필요


7. 취업성공대출

1) 대상

- 고용노동부에서 진행하는 취업성공패키지를 이수하거나 진흥원 취업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

- 3개월 이내 취업한 자


2) 대출 한도

- 최대 300만 원


3) 상환기간

- 3년이내


4) 금리

- 연 4.5% 이내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관련링크 바로가기]

-낮은 신용점수로 대출이 어렵나요? 대출이자가 너무 높다면 '근로자 햇살론'이 있어요.


☆ 미소금융 센터 

1. 서울

1) 서울 중앙

- 서울 중구 세종대로 124, 프레스 센터 6층


2) 서울 강남

-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325 라임타워 3층


3) 서울 관악

- 서울 관악구 시흥대로 578 광안빌딩 6층


4) 서울 광진

- 서울 광진구 광나루로 56길 85, 테크노마트 사무동 5층


5) 서울 노원

- 서울 노원구 노해로 460 현대증권빌딩 3층

6) 서울 양천

- 서울 양천구 목동로 177, 정동빌딩 7층


2. 경기∙인천

1) 인천

- 인천 남동구 인주대로 611 삼성생명빌딩 15층-Ai보단사람-


2) 인천계양

- 인천 계양구 경명대로 1074 삼환1빌딩 2층


3) 수원

- 경기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37, 코스모수원빌딩 8층


4) 성남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활새울로 258번길 31 분당예미지빌딩 2층


5) 의정부

- 경기 의정부시 평화로 516, 한화생명빌딩 4층


6) 고양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187, 흥국생명빌딩 6층


7) 부천

- 경기 부천시 원미구 송내대로 66, 용운빌딩 8층


8) 안산

- 경기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27, 남양빌딩 5층


9) 안양

- 경기 안양시 안양로 270, 남서울빌딩 7층


10) 김포

- 경기 김포시 김포한강4로 125, 월드타워빌딩 2층


11) 하남

-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대로 52, 하남고용복지+센터 4층


12) 평택

- 경기 평택시 평택로 149, 2층


13) 구리

- 경기 구리시 건원대로 44 태영빌딩 2층


3. 강원

1) 강릉

- 강원 강릉시 강릉대로 33, 강릉시청 15층


2) 원주

- 강원 원주시 시청로 36, 씨티타워 2층


3) 춘천

- 강원 춘천시 금강로 45, 기업은행 춘천지점 2층


4) 속초

- 강원 속초시 동해대로 4178, 속초 고용복지+센터 3층-Ai보단사람-


4. 대전∙충청

1) 대전

- 대전 중구 중앙로 116 대전신용보증재단빌딩 3층, 4층


2) 천안

- 충남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17, 삼성생명빌딩


3) 청주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81번길 4, 대우증권빌딩 4층


4) 홍성

- 충남 홍성군 홍북읍 청사로 158 2층 204호


5) 당진

- 충남 당진시 천변1길 224-14, 2층


5. 부산∙울산∙경남

1) 부산

- 부산 연제구 중앙대로 1000, 국민연금공단 16층


2) 부산 사상

- 부산 사상구 광장로 76, 송원센터빌딩 10층


3) 부산 수영

- 부산시 수영구 광안동 51-5 메디세움 빌딩 13층


4) 창원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82 삼성생명빌딩 3층


5) 울산

- 울산 남구 화합로 138 옥산빌딩 2층


6. 대구∙경북

1) 대구

- 대구 중구 달구벌대로 2108 하나은행 3층


2) 서대구

- 대구 달서구 달구벌대로 1780 삼희빌딩 8층


3) 경주

- 경북 경주시 동천동 원화로 396, 경주고용복지+센터 3층


4) 포항

-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231 동양빌딩 6층


5) 구미

- 경북 구미시 송정대로 73, KB손해보험빌딩 2층-Ai보단사람-


7. 광주∙전라

1) 광주

- 광주 동구 금남로 148 에이원타워 6층

2) 북광주

- 광주 북구 북문대로 117 405호


3) 순천

- 전남 순천시 중앙로 39, 동양생명빌딩 6층


4) 전주

-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396 세광타워 3층


5) 군산

- 전북 군산시 조촌로 62 군산고용복지+3층


6) 목포

- 전남 무안군 삼향읍 오룡3길 2, 전남중소기업진흥원 5층


7) 익산

- 전북 익산시 익산대로 16길 39, SK빌딩 11층


8. 제주

1) 제주

- 제주 제주시 중앙로 165, 제주고용복지+센터 3층


9. 문의처

- 서민금융콜센터 전화 1397


어려운 분들에게 '돈을 빌릴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도 크지만 금융 소외계층의 자립과 재도약을 돕는 따뜻한 제도인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일반 금융보다 낮은 금리로 신용이 낮거나 담보가 없는 분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미소 금융입니다.

여러분의 가게가 번창하길 바라겠습니다.


미소금융 대출





[참고 출처 : KB미소금융재단 공식 사이트 www.kbmiso.or.kr]

#미소금융 #창업자금대출 #정부지원대출 #서민금융 #무담보대출 #저신용대출 #소상공인지원 #자영업자금융 #마이크로크레딧 #창업지원

[관련링크 바로가기]
2025년 미소드림적금 가입하세요. 이자에 이자를 더합니다. 최대 연10% 금리 혜택 받으세요.
연체자도 신용이 낮아도 대출 됩니다. [불법사금융예방대출]
[근로자 햇살론]신용점수가 낮아 대출이 어렵나요? 이자율이 너무 높아 걱정이라면 근로자 햇살론 알아보세요.
[엄마는 히어로 취업촉진 프로그램]아빠.엄마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 미리 준비하시고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댓글

Most Popular

2026년 만 18세 성인이 되는 장애인도 장애인연금 신청하세요. 기준이 완화되고 혜택이 늘어납니다.

 2026년부터 장애인연금 제도가 탄탄해 집니다. 단순한 금액 인상을 넘어, 수급 대상의 확대와 신청 절차의 간소화까지 포함됩니다. 더 많은 중증장애인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의 최소한의 소득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Ai보단사람- 2026년에는 지급 금액 인상, 수급 대상 확대, 신청 절차 간소화 등 여러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신청 자격은요? 2026년에 만 18세가 되는 2008년생 생일을 맞이한 분들이 그 대상입니다. 2026년 1월 1일이 생일이라면 1월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장애정도는 중증장애인으로 기존 1급~2급 또는 이에 준하는 수준입니다. 장애정도는 2030년까지 그 대상을 점점 넓혀나가는 것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Ai보단사람- 소득인정액은 2025년 현재 기준 단독가구 월1,380,000원 이하이고 2026년엔 상향될 예정입니다. 소득∙재산 기준이 완화되면 일부 중산층 장애인의 수급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장애인연금 금액은? 2025 년 현재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가 342,510원이고 시설에 있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라면 부가급여 90,000원을 더해 432,510원 받게 됩니다.  2026년엔 기초급여 기준 최대 434,000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부가급여는 장애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생활비를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에 따라 20,000원에서 100,000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참고로 2025년 현재 주거∙교육급여/차상위 계층의 장애인염금액은 422.510원, 차상위 초과자는 372,510원 입니다. [관련자료 바로가기] -  장애인 차량 등록 방법 알고 가세요. 어렵지 않게 등록 할 수 있어요.'장애인 사용자동...

'아이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돌보미를 하고 싶어요? 교육, 급여, 상여금, 센터 안내. 모두 알려드립니다.

 아이돌봄서비스를 아시나요? [관련링크 바로가기] -  아이는 혼자있는데, 갑자기 야근? 입원? '아이돌봄서비스' 신청하세요. 안전하게 돌봐드립니다. 정부가 운영하는 '아이돌봄서비스'를 통해 활동하는 '아이돌보미'는 가정 내에서 아동을 돌보는 전문 인력입니다. 영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 식사보조, 등하원 동행, 안전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관련링크 바로가기] -  [원주.제주] 만 60세 이상 아이돌보미 시범 사업을 소개합니다. 원주는 교육기간동안 급여 제공도 된데요. 근무형태는 '시간제', '종일제' 그리고 '질병감염 아동 지원' 등이 있습니다. 2025년 기준 교육기간 및 과정 등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 아이돌보미 1. 자격요건 -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 체류 자격을 갖춘 외국인  (F-2비자 - 거주비자, F-5 - 영주비자, F-6 결혼이민자 비자 소지자만 가능함.) - 학력∙경력 제한 없음. -Ai보단사람- - 아이돌보미 양성교육 수료자 (정부 지정 교육기관에서 120시간 교육 이수자) 2. 결격 사유(하나라도 해당될 경우 아이돌보미로 활동할 수 없음.) - 미성년자,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 정신질환자 및 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 -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않은 자 -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3년이 지나지 않은 자 - 성범죄 및 아동학대 범죄 전력자 - 아이돌보미 자격정지 중이거나 자격 취소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자 3. 양성교육 기간 및 과정 - 아이돌보미 양성교육은 신규자 과정과 유사 자격자 과정으로 나뉘며, 교육 시간과 내용이 다르게 구성됩니다. 1) 신규자 과정(총 120시간) - 이론 교육(100시간) : 아동 발달, 놀이 지도, 안전관리, 응급처치, 아동학대 예...

[2025-2026 독감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독감예방 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나에게 해당되는 날짜 확인하세요.

 9월 부터 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예방주사는 9월 22일을 시작으로 어린이와 어르신, 그리고 취약계층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항체는 백신 접종 후 1~2주 안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항체가 만들어 진 후에는 약 6개월에서 12개월 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매년 독감 접종을 하는 이유는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기에 매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의 예방 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무료 독감예방접종 대상자와 시기를 알려드립니다.-Ai보단사람-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 독감예방접종 1. 어린이 1) 대상 -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2년 1월 1일 출생자~2025년 8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2일부터-Ai보단사람- - 1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9일부터 - 접종 마감 : 2026년 4월 30일 [관련링크 바로가기] -  헷갈리는 아기접종을 보기 편하게 개월 수별로 준비했어요. [주의할 점. 접종시 팁. 링크] 2.만 75세 이상 어르신 1) 대상 - 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2) 접종일 - 2025년 10월 15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3. 만70세~74세 어르신 1) 대상 - 1951년 1월 1일 ~1955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025년 10월 20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4. 만 65세~69세 어르신 1) 대상 - 1956년 1월 1일 ~ 1960년 ...

자진 퇴사해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정당한 이직 사유의 종류 알려드립니다.

 자진 퇴사하면 실업급여는 무조건 받을 수 없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퇴사하는 순간까지 회사에 아쉬운 소리를 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물론 들어주는 사업장이 많지는 않을 겁니다. 고용보험료가 올라간다거나 고용지원금 수급이 제한 되는 등의 불이익 등이 그 이유입니다.-Ai보단사람- 정당한 사유가 있고 그것을 증빙할 서류가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보고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인정되는 정당한 이직 사유(자진퇴사 시. 2025년 기준) 1. 임금체불 1) 인정 기준-Ai보단사람- - 2개월 이상 연속으로 임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평균 임금의 30%이상 미지급 된 경우. 2) 필요 증빙 서류 - 급여 명세서, 통장 거래내역, 진술서 등 2. 근로조건 위반 1) 인정 기준 - 근로계약서와 실제 근무조건이 현저히 다른 경우 - 예 : 휴일수당 미지급, 초과근무 강요 등 2) 필요 증빙 서류 - 근로계약서, 출퇴근 기록, 진술서 등 3. 성희롱∙폭행 등 직장 내 괴롭힘 1) 인정 기준  - 사업주가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았고, 피해자가 계속 근무하기 어려운 경우 - 녹취나 혹은 증언해 줄 수 있는 증인이 있어야 유리함. 2) 필요 증빙 서류 - 녹취, 신고서, 상담기록, 진술서 등 4. 건강 악화 1) 인정 기준 - 업무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계속 근무가 불가능한 경우 2) 필요 증빙서류-Ai보단사람- - 진단서, 의사 소견서 5. 육아∙가족 돌봄 1) 인정 기준 - 만 8세 이하 자녀 또는 가족의 질병∙장애로 인해 근무 지속이 어려운 경우 2) 필요 증빙 서류 - 주민등록등본, 진단서, 돌봄 사유서 6. 통근 곤란 1) 인정 기준 - 왕복 통근 시간이 3시간 이상이거나,...

[띠별 나이별 정년나이 퇴직년도]단계적으로 정년 나이를 상향하게 되면 나의 정년은 언제일까요?

 현재 논의 중인 법안에 따르면 정년을 단계적으로 상향시킨다고 합니다. 민주당 박홍배 국회의원이 발의하였고 현제 논의 중입니다. 이것이 통과 된다면 많은 분들의 노후가 좀더 안정적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Ai보단사람- 이 법안은 2027년은 만 63세, 2028년에서 2032년까지는 만 64세, 2033년부터 만 65세로 정년 나이를 올리는 법안입니다. 이에 따라, 2034년에 만 65세가 되는 1968년생이 첫번째로 법정 정년 65세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 법안을 기초로 년생별, 띠별 정년나이를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정년 나이 상향 법안에 따른 띠별 나이별 정년 (2025년 나이 기준 예상 정년 년도) -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정년 연장 예상 적용 하여 계산 하였으며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1. 만 64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 1967년생 -> 현 만 58세 양띠 -> 2031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7년 정년)-Ai보단사람- 2. 만 65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1) 1968년생 -> 현 만 57세 원숭이띠 -> 2033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8년 정년) 2) 1969년생 -> 현 만 56세 닭띠 -> 2034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9년 정년) 3) 1970년생 -> 현 만 55세 개띠 -> 2035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0년 정년)-Ai보단사람- 4) 1971년생 -> 현 만 54세 돼지띠 -> 2036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1년 정년) [관련링크 바로가기] -  아이돌보미를 아세요? 교육, 급여, 센터안내 등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정년 나이는 만 나이로 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오류해결법 (2025년 10월 기준)요양보호사·장애인활동지원사.아동돌보미.건강관리사.등

 2025년 9월 국가정보관리원 화재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앱(APP)이 열리지 않아 결제를 하지 못하고 있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10월 10일 임시복구가 되었다고는 하나 아직 불안정하여 소급결제와 결제가 이루어 지지 않은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이용하고 있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두 안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용불가 시 방법 1. 다시 시작하기 사진의 화살표가 가르키는 곳을 손가락으로 내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네모' 박스 안에 있는 곳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초록색 '다시 시작' 을 눌러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다시 켜줍니다. 화면을 한 번 더 눌러주면 휴대전화가 꺼졌다가 다시 시작 됩니다. 그 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앱을 다시 실행시켜 주시면 됩니다. [관련링크 바로가기] 국가정보원 화재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는 지장이 없을까요? 장애인, 활동지원사 안내. 2. 다시 깔기(삭제 후 재설치) 만약 위의 방법으로 안된다면 '사회서비스 바우처' 앱 을 지우고 다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들어갑니다. 아랫쪽 돋보기를 눌러 검색 합니다. '전자바우처' 를 검색합니다. 이미지를 눌러 위의 화면이 나오면 '제거' 를 눌러 제거합니다.  그 후, '설치' 를 눌러 다시 설치해 줍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로그인 해 줍니다. 3. 와이파이 끄고 실행하기 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