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50세 이상 어르신들이 자신들의 경력을 살려 공공일자리를 통해 사회에 기여하며 민간 일자리로의 전환까지 돕는 제도입니다.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경력단절을 막으며 새로운 일자리로 나아가기 위한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살아온 삶의 경험이 다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기회가 있다는 건 무척 가치 있는 일입니다.
☆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
- 경력을 살려 사회에 기여하면서 소득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공공일자리입니다.
상담사 경력자의 경우 청소년 상담센터에서 활동을 하거나, 회계 경력자의 경우 소상공인 컨설팅을 하는 등의 공공일자리입니다.
1. 대상
- 만50세 이상~만70세 미만의 퇴직자 또는 미취업자
-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경력이 있는경우
- 산업기사 이상 자격증 또는 서비스 분야 2급 이상 자격증이 있는 경우.
(워드 프로세서 제외)
2. 신청방법
- 공고 확인 : 시.군.구청 홈페이지 또는 고용노동부 알림마당에서 모집 공고 확인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보통 1~3월 사이 모집 시작)
- 온라인 신청 : 일부 지자체의 경우 웹사이트 접수 가능
- 오프라인 신청: 시청, 구청, 주민센터 등 직접 방문하여 서류 제출
3. 필요 서류
- 참여 신청서(접수처 배치)
-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 주민등록등본
- 경력증명서 또는 퇴직증명서
-자격증 사본(해당자에 한함)
☆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혜택
1. 월급
- 최저임금 이상 + 주휴수단 + 연차수당
(사업별 상이하나 월 평균 160만~200만 원)
2. 근무시간
- 주 15~40시간(파트타임도 가능)
3. 근무기간
- 기본 10개월, 최대 2년까지 연장 가능
4. 4대보험 가입
-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포함
5,교육지원
-직무 교육, 디지털 역량 강화교육
6. 경력코칭
- 이력서 첨삭, 면접 전략 등 1:1 상담
퇴직교사가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 상담 및 학습코칭을 하거나 지역보건소에서 고령자 대상 건강 상담 및 예방교육을 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단순 일자리보다는 경력 재설계, 사회적 기여, 자아실현 뿐 아니라 경력 단절에서 오는 우울감 등에도 도움을 줍니다.
경력은 시간이 지나갈수록 깊어집니다. 정부 지원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면 당신의 경력이 의미있는 활동과 소득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나의 경력을 살려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되돌아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신중년일자리 #경력형공공일자리 #중장년재취업 #사회공헌일자리 #경력재설계 #커리어전환지원 #퇴직후삶 #정부지원사업 #50대일자리 #중장년복지제도 #공공일자리제도 #이력서코칭 #직무교육지원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