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는 청년들이 우리 아이를 돌봐주고, 정부가 비용을 지원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소득 제한이 거의 없는 보편적인 서비스입니다. 물론 소득에 따른 지원금의 가격이 다릅니다.-Ai보단사람-
전문 교육을 받은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이 동행 및 안전지원과 학습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모님들이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와 청년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지역사회 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란?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들이 직접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그 중 '초등돌봄 서비스'는 맞벌이, 한부모 가정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한 초등학생에게 안정적인 돌봄을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기관에 청년을 고용하여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업 목적
- 초등학생 돌봄 공백 해소 및 청년 일자리 창출-Ai보단사람-
2. 서비스 제공자
- 서비스 제공 기관에 고용된 만 19세~34세 청년 인력
3. 운영 방식
- 청부가 바우처(이용권)를 지원하여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
? 이용 대상자는?
소득 기준을 크게 따지지 않는 보편적이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과 본인 부담금의 비율이 차등 적용됩니다.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을 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서, 초등학교 재학 연령에 해당하는 아동을 둔 보호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부의 아이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고 있다면 중복되어 이용할 수 없습니다.
1. 대상 아동
- 초등학교 재학 연령 아동
2. 소득 기준
- 소득 기준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
3. 우선 순위
- 맞벌이, 한부모, 취약계층 등 돌봄 공백이 큰 가정에 우선 제공될 수 있음.
4. 중복 제한
- 여성가족부의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중복 이용 제한.-Ai보단사람-
?서비스 유형과 내용은?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는 아이의 필요와 가정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크게 학습지원과 동행 지원의 두 가지 기본 유형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각 유형은 지역별 청년사업단의 프로그램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의 가격과 기간은 예시이며 실제 제공 시간, 횟수, 프로그램은 지역별 사업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A형(학습지원)
- 학습 지도, 예체능, 독서 등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 운영
- 월 240,000원씩 5개월간
2. B형(동행 지원)
- 등, 하교 동행, 병원 동행, 안전 귀가 지원, 외출 보조 등
- 월 264,000원씩 5개월간
3. C형(학습, 동행 지원)
- 학습 지원과 동행 지원이 결합된 형태
- 월 410,000원씩 3개월간
? 이용 금액(본인 부담금)은?
이 서비스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통해 제공되며,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금과 본인 부담금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기초수급자가 C형을 선택하여 이용할 경우 410,000원의 5%인 20,500원의 본인부담금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소득별 본인부담금 비율(기준 중위소득 대비)
-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 서비스 금액의 5%-Ai보단사람-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 서비스 금액의 10%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서비스 금액의 20%
- 기준 중위소득 160% 이하
: 서비스 금액의 70%
- 기준 중위소득 160% 초과
: 서비스 금액의 100%(전액 자부담)
? 신청방법은?
이 사업은 아동의 주민등록 주소지를 관할하는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진행됩니다. 행정복지센터에서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를 신청 한 후 지자체에서 심사 후 서비스 대상자로 결정합니다. 이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카드'를 발급 받아 이용하면 됩니다.
전자바우처 사이트를 통해 기관을 검색하여 계약 후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관련링크 바로가기]
'드림스타트' 정부가 지원하는 아동 맞춤형 복지서비스 알려드립니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 신청
- 서류 준비
: 신청서 및 소득 확인을 위한 서류(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신분증 등 준비
- 신청 및 접수
: 아동의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를 통해 신청-Ai보단사람-
- 심사 및 결정
: 지자체에서 소득 및 돌봄 필요성 등을 심사하여 서비스 대상자로 결정
- 바우처 발급
: 대상자로 선정 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카드 발급
- 기관 선택 및 이용
: 전자바우처 사이트 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사업단(제공 기관)을 선택하고 계약 후 서비스 이용.
?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은 청년들이라면?
청년사업단은 지자체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민간기관입니다. 따라서 청년 인력 채용은 각 기관에서 진행합니다. 각 지역의 시.군.구청 복지정책과에 문의하여 해당 지역의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는 민간기관이 어디인지 확인합니다. 대학이나 복지법인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나 지역 일자리, 채용 정보 사이트에서 '서비스 제공 인력' 또는 '청년사업단' 관련 채용 공고를 확인합니다.
공고에 따라 지원하고 채용이 확정되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직무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후 활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채용은 보통 연초 사업 시작 시점에 집중되어 있으며 결원 발생 시 수시 채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만 19세 ~ 만 34세 청년
- 채용 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직무 교육(필수) 이수 필요
- 초등학생 돌봄, 학습 지도, 등하교 동행 등 서비스 유형에 따른 활동
- 서비스 제공 기간 동안 안정적인 소득 확보 및 사회서비스 분야 경력 형성 가능
? 청년사회서비스 사업단 현황?
1. 부산
1) (주)레벤그리다 한국문화다양성연구원 기업부설연구소-Ai보단사람-
- 자체개발 서비스
- 010-4006-2203
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서비스
- 010-6422-7960
3) 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등돌봄, 일상돌봄 등
- 051-200-1585
2. 대구
1) 월성종합사회복지관
- 일상돌봄(신체건강)
- 053-634-4113
2) 대구 헬스케어 휘트니스센터
- 일상돌봄(신체건강)
- 010-4552-8999
3. 인천
1) 검단라파언어심리센터 부설 플로어타임연구소
- 심리지원
- 032-565-7757
2) (주)아이봄센터
- 심리지원
- 010-2757-6698
4. 광주
1) 광주광역시 안심돌봄센터
- 일상돌봄
- 062-716-2401-Ai보단사람-
2)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62-608-5149
3) 광주시 육아종합지원센터
- 초등돌봄
- 010-2053-2800
5. 대전
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42-280-2922
2) 건양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리지원
- 042-7222-0032
6. 울산
1) 사회적기업 희망주식회사
- 초등돌봄, 일상돌봄 등
- 052-291-1919
2) 사회적협동조합 에셀나무
- 초등돌봄
- 052-281-5540
7. 세종
1) (주)HA 연구원
- 초등돌봄
- 044-867-7211-Ai보단사람-
8. 경기
1) 한양대학교 ERICA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10-2556-1398
9. 충북
1) 청주대학교 석우재활서비스센터
- 초등돌봄, 신체건강
- 043-299-7568
10. 충남
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10-5297-2239
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41-580-3291
11. 전북
1) (주)바다음악앤 놀이마음연구소
- 초등돌봄
- 063-912-9127
2) 한국문화예술 교육연구원
- 일상돌봄(신체건강)
- 063-212-9261
12. 전남
1) 목포과학대학 산학협력단
- 일상돌봄(신체건강)
- 010-7252-3642
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상돌봄(신체건강)
- 061-469-1530
13. 경북
1) 경북대학교 운동재활연구소
- 신체건강
- 010-2000-5045
14. 경남
1) 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10-9321-7553-Ai보단사람-
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등돌봄
- 010-4860-0730
15. 제주
1) 국민체력센터ES코칭
- 신체건강
- 064-712-1972
이용을 원하는 분들에게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돌봄의 공백을 채우며, 청년들에게는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형 돌봄 모델입니다.
이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아이의 돌봄과 청년의 일자리 문제가 모두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참고 자료 출처 : 복건복지부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복지로]
#초등돌봄서비스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돌봄서비스 #정부지원 #초등학생돌봄 #복지혜택 #사회서비스바우처 #청년일자리 #육아정보 #맘스타그램
[함께보면 좋을 링크]
- 무료법률상담 100% 활용해 보세요. 변호사 초기 상담 시 챙겨야 할 것들
- 자진 퇴사해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정당한 이직 사유의 종류 알려드립니다.
- [무급휴업∙휴직 근로자 지원제도]사업이 흔들릴 때, 해고 대신 선택한 희망! 고용유지 지원금으로 재도약하세요.
- 2026년 만 18세 성인이 되는 장애인도 장애인연금 신청하세요. 기준이 완화되고 혜택이 늘어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