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 정부지원 '이용자 혜택'과 '청년 참여 채용 방법'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는 청년들이 우리 아이를 돌봐주고, 정부가 비용을 지원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소득 제한이 거의 없는 보편적인 서비스입니다. 물론 소득에 따른 지원금의 가격이 다릅니다.-Ai보단사람-

전문 교육을 받은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이 동행 및 안전지원과 학습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모님들이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와 청년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지역사회 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란?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들이 직접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그 중 '초등돌봄 서비스'는 맞벌이, 한부모 가정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한 초등학생에게 안정적인 돌봄을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기관에 청년을 고용하여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업 목적

- 초등학생 돌봄 공백 해소 및 청년 일자리 창출-Ai보단사람-


2. 서비스 제공자

- 서비스 제공 기관에 고용된 만 19세~34세 청년 인력


3. 운영 방식

- 청부가 바우처(이용권)를 지원하여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


? 이용 대상자는?

소득 기준을 크게 따지지 않는 보편적이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과 본인 부담금의 비율이 차등 적용됩니다.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을 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서, 초등학교 재학 연령에 해당하는 아동을 둔 보호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부의 아이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고 있다면 중복되어 이용할 수 없습니다.


1. 대상 아동

- 초등학교 재학 연령 아동


2. 소득 기준

- 소득 기준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


3. 우선 순위

- 맞벌이, 한부모, 취약계층 등 돌봄 공백이 큰 가정에 우선 제공될 수 있음.


4. 중복 제한

- 여성가족부의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중복 이용 제한.-Ai보단사람-


?서비스 유형과 내용은?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는 아이의 필요와 가정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크게 학습지원과 동행 지원의 두 가지 기본 유형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각 유형은 지역별 청년사업단의 프로그램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의 가격과 기간은 예시이며 실제 제공 시간, 횟수, 프로그램은 지역별 사업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A형(학습지원)

- 학습 지도, 예체능, 독서 등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 운영

- 월 240,000원씩 5개월간


2. B형(동행 지원)

- 등, 하교 동행, 병원 동행, 안전 귀가 지원, 외출 보조 등

- 월 264,000원씩 5개월간


3. C형(학습, 동행 지원)

- 학습 지원과 동행 지원이 결합된 형태

- 월 410,000원씩 3개월간


? 이용 금액(본인 부담금)은?

이 서비스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통해 제공되며,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금과 본인 부담금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기초수급자가 C형을 선택하여 이용할 경우 410,000원의 5%인 20,500원의 본인부담금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소득별 본인부담금 비율(기준 중위소득 대비)

-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 서비스 금액의 5%-Ai보단사람-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 서비스 금액의 10%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서비스 금액의 20%


- 기준 중위소득 160% 이하

: 서비스 금액의 70%


- 기준 중위소득 160% 초과

: 서비스 금액의 100%(전액 자부담)


? 신청방법은?

이 사업은 아동의 주민등록 주소지를 관할하는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진행됩니다. 행정복지센터에서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를 신청 한 후 지자체에서 심사 후 서비스 대상자로 결정합니다. 이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카드'를 발급 받아 이용하면 됩니다.

전자바우처 사이트를 통해 기관을 검색하여 계약 후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관련링크 바로가기]

'드림스타트' 정부가 지원하는 아동 맞춤형 복지서비스 알려드립니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 서비스' 신청

- 서류 준비

: 신청서 및 소득 확인을 위한 서류(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신분증 등 준비


- 신청 및 접수

: 아동의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를 통해 신청-Ai보단사람-


- 심사 및 결정

: 지자체에서 소득 및 돌봄 필요성 등을 심사하여 서비스 대상자로 결정


- 바우처 발급

: 대상자로 선정 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카드 발급


- 기관 선택 및 이용

: 전자바우처 사이트 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사업단(제공 기관)을 선택하고 계약 후 서비스 이용.


?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은 청년들이라면?

청년사업단은 지자체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민간기관입니다. 따라서 청년 인력 채용은 각 기관에서 진행합니다. 각 지역의 시.군.구청 복지정책과에 문의하여 해당 지역의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는 민간기관이 어디인지 확인합니다. 대학이나 복지법인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나 지역 일자리, 채용 정보 사이트에서 '서비스 제공 인력' 또는 '청년사업단' 관련 채용 공고를 확인합니다.

공고에 따라 지원하고 채용이 확정되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직무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후 활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채용은 보통 연초 사업 시작 시점에 집중되어 있으며 결원 발생 시 수시 채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만 19세 ~ 만 34세 청년

- 채용 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직무 교육(필수) 이수 필요

- 초등학생 돌봄, 학습 지도, 등하교 동행 등 서비스 유형에 따른 활동

- 서비스 제공 기간 동안 안정적인 소득 확보 및 사회서비스 분야 경력 형성 가능


? 청년사회서비스 사업단 현황?

1. 부산

1) (주)레벤그리다 한국문화다양성연구원 기업부설연구소-Ai보단사람-

- 자체개발 서비스

- 010-4006-2203

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서비스

- 010-6422-7960

3) 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등돌봄, 일상돌봄 등

- 051-200-1585


2. 대구

1) 월성종합사회복지관

- 일상돌봄(신체건강)

- 053-634-4113

2) 대구 헬스케어 휘트니스센터

- 일상돌봄(신체건강)

- 010-4552-8999


3. 인천

1) 검단라파언어심리센터 부설 플로어타임연구소

- 심리지원

- 032-565-7757


2) (주)아이봄센터

- 심리지원

- 010-2757-6698


4. 광주

1) 광주광역시 안심돌봄센터

- 일상돌봄

- 062-716-2401-Ai보단사람-


2)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62-608-5149


3) 광주시 육아종합지원센터

- 초등돌봄

- 010-2053-2800


5. 대전

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42-280-2922


2) 건양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리지원

- 042-7222-0032


6. 울산

1) 사회적기업 희망주식회사

- 초등돌봄, 일상돌봄 등

- 052-291-1919


2) 사회적협동조합 에셀나무

- 초등돌봄

- 052-281-5540


7. 세종

1) (주)HA 연구원

- 초등돌봄

- 044-867-7211-Ai보단사람-


8. 경기

1) 한양대학교 ERICA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10-2556-1398


9. 충북

1) 청주대학교 석우재활서비스센터

- 초등돌봄, 신체건강

- 043-299-7568


10. 충남

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10-5297-2239


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41-580-3291


11. 전북

1) (주)바다음악앤 놀이마음연구소

- 초등돌봄

- 063-912-9127


2) 한국문화예술 교육연구원

- 일상돌봄(신체건강)

- 063-212-9261


12. 전남

1) 목포과학대학 산학협력단

- 일상돌봄(신체건강)

- 010-7252-3642


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상돌봄(신체건강)

- 061-469-1530


13. 경북

1) 경북대학교 운동재활연구소

- 신체건강

- 010-2000-5045


14. 경남

1) 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건강

- 010-9321-7553-Ai보단사람-


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등돌봄

- 010-4860-0730


15. 제주

1) 국민체력센터ES코칭

- 신체건강

- 064-712-1972


이용을 원하는 분들에게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돌봄의 공백을 채우며, 청년들에게는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형 돌봄 모델입니다.

이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아이의 돌봄과 청년의 일자리 문제가 모두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청년사업단 초등돌봄서비스




[참고 자료 출처 : 복건복지부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복지로]

#초등돌봄서비스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돌봄서비스 #정부지원 #초등학생돌봄 #복지혜택 #사회서비스바우처 #청년일자리 #육아정보 #맘스타그램

[함께보면 좋을 링크]
무료법률상담 100% 활용해 보세요. 변호사 초기 상담 시 챙겨야 할 것들
자진 퇴사해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정당한 이직 사유의 종류 알려드립니다.
[무급휴업∙휴직 근로자 지원제도]사업이 흔들릴 때, 해고 대신 선택한 희망! 고용유지 지원금으로 재도약하세요.
2026년 만 18세 성인이 되는 장애인도 장애인연금 신청하세요. 기준이 완화되고 혜택이 늘어납니다.






댓글

Most Popular

2026년 만 18세 성인이 되는 장애인도 장애인연금 신청하세요. 기준이 완화되고 혜택이 늘어납니다.

 2026년부터 장애인연금 제도가 탄탄해 집니다. 단순한 금액 인상을 넘어, 수급 대상의 확대와 신청 절차의 간소화까지 포함됩니다. 더 많은 중증장애인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의 최소한의 소득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Ai보단사람- 2026년에는 지급 금액 인상, 수급 대상 확대, 신청 절차 간소화 등 여러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신청 자격은요? 2026년에 만 18세가 되는 2008년생 생일을 맞이한 분들이 그 대상입니다. 2026년 1월 1일이 생일이라면 1월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장애정도는 중증장애인으로 기존 1급~2급 또는 이에 준하는 수준입니다. 장애정도는 2030년까지 그 대상을 점점 넓혀나가는 것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Ai보단사람- 소득인정액은 2025년 현재 기준 단독가구 월1,380,000원 이하이고 2026년엔 상향될 예정입니다. 소득∙재산 기준이 완화되면 일부 중산층 장애인의 수급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장애인연금 금액은? 2025 년 현재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가 342,510원이고 시설에 있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라면 부가급여 90,000원을 더해 432,510원 받게 됩니다.  2026년엔 기초급여 기준 최대 434,000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부가급여는 장애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생활비를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에 따라 20,000원에서 100,000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참고로 2025년 현재 주거∙교육급여/차상위 계층의 장애인염금액은 422.510원, 차상위 초과자는 372,510원 입니다. [관련자료 바로가기] -  장애인 차량 등록 방법 알고 가세요. 어렵지 않게 등록 할 수 있어요.'장애인 사용자동...

[띠별 나이별 정년나이 퇴직년도]단계적으로 정년 나이를 상향하게 되면 나의 정년은 언제일까요?

 현재 논의 중인 법안에 따르면 정년을 단계적으로 상향시킨다고 합니다. 민주당 박홍배 국회의원이 발의하였고 현제 논의 중입니다. 이것이 통과 된다면 많은 분들의 노후가 좀더 안정적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Ai보단사람- 이 법안은 2027년은 만 63세, 2028년에서 2032년까지는 만 64세, 2033년부터 만 65세로 정년 나이를 올리는 법안입니다. 이에 따라, 2034년에 만 65세가 되는 1968년생이 첫번째로 법정 정년 65세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 법안을 기초로 년생별, 띠별 정년나이를 알려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정년 나이 상향 법안에 따른 띠별 나이별 정년 (2025년 나이 기준 예상 정년 년도) -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정년 연장 예상 적용 하여 계산 하였으며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1. 만 64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 1967년생 -> 현 만 58세 양띠 -> 2031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7년 정년)-Ai보단사람- 2. 만 65세 정년을 맞이하는 출생년도 1) 1968년생 -> 현 만 57세 원숭이띠 -> 2033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8년 정년) 2) 1969년생 -> 현 만 56세 닭띠 -> 2034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29년 정년) 3) 1970년생 -> 현 만 55세 개띠 -> 2035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0년 정년)-Ai보단사람- 4) 1971년생 -> 현 만 54세 돼지띠 -> 2036년 정년퇴직 예상(현재 기준 2031년 정년) [관련링크 바로가기] -  아이돌보미를 아세요? 교육, 급여, 센터안내 등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정년 나이는 만 나이로 하...

치매 환자 의료비 10% 본인부담금만 내세요. 중증치매 산정특례 코드 등

 산전특례란 의료비 부담 경감 제도로 매우 심한 질병을 가진 환자들이 치료비 걱정 없이 꾸준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나라에서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그 중, 중증치매 산정특례는 치매가 심각한 수준의 중증인 환자분들을 위한 제도 입니다. -Ai보단 사람- 일반 질병에 비해 진료비가 훨씬 많이 드는 중증치매 환자에게 본인 부담금을 대폭 줄여줄 수 있습니다. ?산정특례란? 치료가 오래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병원비 중 건강보험 적용되는 병원비를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병원비와 약제비의 본인부담률을 10%로 낮춰주어 부담을 덜어줍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의 진료비가 나왔다면 일반적으로 입원 기준 20만 원의 자부담금이 있다면 산정특례 적용 시 10만 원만 부담하게 됩니다. 일반진료 시 - 입원비 약 20% 부담 - 외래진료 약 30%~60% 부담-Ai보단 사람- 중증치매 산정특례 적용 시 - 입원 비 10% 부담 - 외래진료 10% 부담 ?산정특례 해당 치매 종류? 보통은 중등도 이상의 치매로 진단받을 경우 해당됩니다. 산정특례를 받기 위해서는 적용 가능한 상병코드를 받아야 합니다. 상병코드란 병원이나 보험사에서 병명을 숫자와 글자로 된 코드로 분류하여 입력하도록 정한 질병의 코드입니다.  산정특례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병명의 코드를 정확하게 기록되어야 하며 만약 잘못 입력할 경우 산정특례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중증치매의 상병코드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V800(중증치매I)과 V810(중증치매॥)이 그것입니다. V800의 경우 5년간 일수 제한 없이 연속 적용 가능하며 재등록이 가능해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희귀난치성 치매 성격의 질환에 적용됩니다. 조발성 알츠하이머병(2형),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전측두엽 치매, 실어증형 치매, 기타 퇴행성 뇌질환에 의한 치매가 있습니다. V810의 경우 급성기 악화 또는 집중 치료가 필요할 경우, 연간 최대 60일 적용되며 전문의가 ...

기초연금 탈락되신 분들도 2026년 다시 신청해 보세요. 기준이 달라집니다.

 우리나라의 초고령화사회 진입과 높은 노인 빈곤율로 인해 노후 생계 및 돌봄과 관련된 복지 제도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기초연금은 어르신들의 든든한 노후를 위한 유용한 제도입니다. 1961년 이전 출생자 여러분이라면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2025년 이전 신청했지만 소득 수준 등으로 인해 탈락했더라도 매년 그 기준이 달라지므로 2026년 1월 새로 신청해 보세요. 여러분의 안정적인 노후에 도움이 될 겁니다. 2026년 예정된 달라지는 내용과 신청 방법 등을 알려드립니다. ?2026년 기초연금?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분들 중 소득과 재산이 소득하위 70%가 신청 할 수 있습니다. 2026년 기준 1961년 출생자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적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해외 5년 이상 거주한 복수 국적자의 경우 국내 거주 5년 이상 조건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만약 1월생이라면 해당되는 해의 1월1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므로 한 달전이 아닌 1월에 신청하면 됩니다.  매년 1월 보건복지부 장관이 발표하는 선정 기준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소득인정액이란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 등의 소득과 집, 땅, 자동차, 금융자산 등의 재산을 복지부 기준에 따라 돈으로 환산하여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1. 대상 - 만 65세 이상(2026년 기준 1961년 이전 출생자) - 대한민국 국적자. 해외 5년이상 거주한 복수 국적자의 경우 추가 조건 있음.(국내 거주 5년 이상 등) -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액 이하(소득과 재산을 합친 금액으로 산정) [노인관련 다른글 알아보기] -  스마트폰과 키오스크를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무료 디지털 교육' 2025년 기준 소득인정액 선정 기준액은 단독가구 228만 원, 부부가구 364만 8천 원이였습니다. 2026년 최종 확정 금액은 2025년 말에서 2026년 초에 발표되며 2025년보다 상향될 예정입니다. 2025년 기준 단독가구 기준 월 최대 342,5...

[2025-2026 독감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독감예방 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나에게 해당되는 날짜 확인하세요.

 9월 부터 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예방주사는 9월 22일을 시작으로 어린이와 어르신, 그리고 취약계층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항체는 백신 접종 후 1~2주 안에 형성된다고 합니다. 항체가 만들어 진 후에는 약 6개월에서 12개월 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하지만,이렇게 매년 독감 접종을 하는 이유는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기에 매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자의 예방 접종은 더욱 중요합니다. 무료 독감예방접종 대상자와 시기를 알려드립니다.-Ai보단사람-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 독감예방접종 1. 어린이 1) 대상 -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2년 1월 1일 출생자~2025년 8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2일부터-Ai보단사람- - 1회 접종 대상자 : 2025년 9월 29일부터 - 접종 마감 : 2026년 4월 30일 [관련링크 바로가기] -  헷갈리는 아기접종을 보기 편하게 개월 수별로 준비했어요. [주의할 점. 접종시 팁. 링크] 2.만 75세 이상 어르신 1) 대상 - 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2) 접종일 - 2025년 10월 15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3. 만70세~74세 어르신 1) 대상 - 1951년 1월 1일 ~1955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무료 접종 가능 2) 접종일  - 2025년 10월 20일부터 - 백신 소진 시까지 4. 만 65세~69세 어르신 1) 대상 - 1956년 1월 1일 ~ 1960년 ...

국민연금 출생년도별 납입 기한, 노령연금 현명하게 수령하는 방법 등 지연수급, 조기수급

 국민연금은 일반적으로 만 60세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965년 8월생이신 분은 2025년 8월분까지 보험료를 납부하고, 실제 납부 기한은 9월 10일까지가 되는 겁니다.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0년(120개월) 이상 납부했을 경우 수급할 수 있으며, 만약 10년 미만 납부한 경우 노령연금 수급 연령에 도달했을 때, 반환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Ai보단사람- 국민연금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국민연금 1. 국민연금이란? - 목적 : 노후 소득 보장 및 생활 안정 : 나라에서 운영하는 연금제도로서 젊어서 보험료를 내고, 나이 들어 연금을 받는 시스템 - 가입 대상 : 만 18세 이상~60세 미만의 국내 거주자(소득 있는 경우 의무가입)-Ai보단사람- - 보험료 : 기준소득월액의 9%(사업장 가입자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 - 수급 조건 : 가입기간 10년 이상이며, 만 62세~65세 이상(연령별 차이 있음) - 수급 형태 :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 연금 등 2. 조기 수급(조기노령연금)이란? 1) 조기 수급은 정상 수급 연령보다 최대 5년 앞당겨 받을 수 있는 조건부 제도. 2) 조기 수급 조건(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함.) - 가입기간 : 10년 이상 -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 중이지 않을 것. (2025년 기준 월 평균 소득이 약 308만 원 미만일 경우 신청 가능) - 조기 수급 가능 연령 일 것. - 조기 수급 시 감액 기준 : 1년 앞당길 때 마다 6%씩 감액.-Ai보단사람- : 최대 5년 조기 수급 시 30% 감액 (예를 들어 정상 수급액이 100만 원 일 경우 조기 수급 시 70만 원 수령) 3) 조기 수급이 유리한 경우 -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 - 당장 생활비가 필요한 경우 - 소득이 거의 없고 경제활동이 어려운 경우 3. 연기 수급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