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산후조리비 금액, 조건, 신청 방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정부24 또는 보조금24에서 신청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보건소나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실비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금액 또한 30만원에서 30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Ai보단사람-
산후조리비 지원은 해산급여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지원사업 등 관련 지원정책과의 중복 신청이 안됩니다. 비교해 보시고 더 유리한 조건으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지역별 지원 내용 정리해 드립니다.
[이동 중이거나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하단의 유튜브 동영상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산후조리비 지원
1. 서울시
1) 신청 대상
- 서울시 거주 출산 가정(소득 기준 없음)
2) 지원금
- 단태아 100만 원
- 다태아 200만 원-Ai보단사람-
- 바우처 지원
3) 신청 서류
- 출생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 산모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4) 신청 방법
- 온라인 서울맘케어시스템 바로가기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 신청
5) 신청 기간
- 출산 후 60일 이내
2. 경기도
1) 신청 대상
- 경기도 내 출생아의 첫 주소지 기준 주민(경기도에서 출생신고가 이루어져야 함.)
- 출생신고 완료 후 신청 가능-Ai보단사람-
- 신청일 현재 실제 도에 거주하고 있을 것.(여주시 6개월 이상 거주)
- 신청일 현재 영아의 출생일이 12개월이 지나지 않았을 것
2) 지원금
- 출생아 1인 당 지역화폐 50만 원
- 여주시 출생아 1인당 본인 부담금 최대 100만 원 실비 지급
3) 신청 기간
- 상시
4) 신청 서류
-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 가족관계증명서
- 산후조리원 관련 지출 증빙서류
5) 신청 방법
- 온라인 경기민원24 바로가기, 정부24 바로가기(여주시)
- 보건소 방문 신청
3. 강원도(원주시, 춘천시, 인제군, 동해시 등)
1) 신청 대상
- 강원도 거주 지역 출생등록 완료 산모
- 춘천시의 경우 6개월 이상 계속 거주 산모
2) 지원금
- 최대 50만 원(실비 정산)
- 동해시의 경우 지역화폐로 지원
3) 신청서류
- 출생증명서-Ai보단사람-
- 산후조리원 영수증
- 산모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4) 신청 방법
- 각 지역 보건소
5) 신청 기간
- 출산 후 6개월 이내
4. 경상도
(영덕군, 성주군, 경산시, 사천시, 봉화군, 구미시, 합천군, 영천시, 거제시, 영주시 등)
1) 신청 대상
- 해당 시∙군 거주 출산가정
- 사천시, 거제시, 청도시의 경우 출생일 기준 6개월 이상 주소를 둔 부 또는 모
- 영주시의 경우 출생일 기준 주민등록을 두고 1년 전부터 실제 거주중인 출산가정
- 남해군의 경우 경우 출생일 기준 주민등록을 두고 3개월 전부터 실게 거주중인 출산가정
2) 지원금
- 대부분 최대 100만 원 실비 지원(사천시 100만 원 지급)
(경산시의 경우 25년 예산 소진으로 인해 25년 12월~26년 1월 중 지급 예정)
- 구미시
: 산후조리 관련 지출 비용 중 산모당 본인 부담금 최대 30만 원 지급
- 합천군-Ai보단사람-
: 출산 1회당 300만 원 이내(출생일 150만 원, 1년 경과 후 150만 원 분할 지급)
- 거제시
: 출생아 1인당 30만 원 산후조리비 지원
- 사천시
: 저소득 취약계층, 다태아 및 셋째아 이상 출산 산모에게 산후조리비 50만 원(선불카드) 지원
- 남해군
: 본인부담금 중 50만 원 이내
3) 신청 서류
- 출생증명서
- 산모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산후조리원 영수증
- 통장사본(지역에 따라)
4) 신청 방법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
5) 접수기관
- 해당 시∙군 보건소(보건지소 불가)
6) 신청 기간
- 출산 후 6개월~12개월 이내(지역별 차이 있음)
7) 문의 전화
- 성주군 054-930-8143-Ai보단사람-
- 봉화군 054-679-6743
5. 전라도(진도군, 남해군, 강진군, 고창군 등)
1) 신청 대상
- 해당 시∙군 거주 출산 가정
- 고창군의 경우 주민 등록을 두고 거주기간 1년 이상 출산가정
2) 지원금
- 진도군
: 출생아 1인당 산후조리비 80만 원 모바일 지역상품권 지급
: 쌍태아 출산의 경우 지원금의 20%(24만 원) 가산 지급
: 출생 후 3개월 이내
- 남해군
: 본인부담금 중 50만 원 이내(다태아의 경우 초과인원 1인에 대하여 1인당 100% 가산 지급)
- 강진군
: 154만 원 지역 모바일 상품권 지원
- 고창군
: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산후조리비용 지원
[관련링크 바로가기]
- 아이와의 첫만남을 준비하세요. 나라에서 최대 300만원 '첫만남이용권'을 드립니다.[2025년 기준]
3) 신청 서류
- 출생증명서
- 산모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산후조리원 영수증
4) 신청 방법
- 보건소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Ai보단사람-
- 강진군의 경우 출생신고시 읍면사무소에서 신청 가능
6. 광주광역시
1) 신청 대상
- 광주광역시 저소득층 출산산모
- 주민등록을 두고 1년 이상 거주한 가정
2) 지원금
- 출생아 1인당 최대 50만 원 지급
3) 신청 서류
- 산모 신분증
- 주민등록 등초본
- 산후조리비용 증빙서류
- 출생증명서
- 산모 명의 통장사본
4) 신청 방법
-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7.충청도(청주시, 괴산군 등)
1) 신청 대상
- 청주시 거주 산모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산
- 12개월 이상 거주
2) 지원금
- 단태아 50만 원, 다태아 100만 원 현금 지급-Ai보단사람-
- 괴산군
: 산모 1인당 100만 원( 충북 임산부 산후조리비 중복 시 차액 50만 원 지급)
3) 신청 서류
- 산모 신분증
- 산후조리비용 증빙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4) 신청 방법
- 보건소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5) 신청 기간
- 출산 후 6개월 이내
6) 문의 전화
- 043-201-3492
[관련링크 바로가기]
- 출산전후 휴가는 모든 임신한 여성 근로자에게 급여 혜택을 드립니다.[출산전후(유산ㆍ사산)휴가 급여] 국가 급여 지원.
8. 울산광역시
1) 신청 대상
- 신생아 출생 기준 1개월 이상 울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출산 가정
2) 지원금
- 출생아 1인당 50만 원 지급-Ai보단사람-
3) 신청 서류
- 출생증명서
- 통장사본
-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4) 신청 기간
- 출생신고일 기준 3개월 이내
5) 신청 방법
-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온라인 정부24 바로가기 신청
9. 제주도
1) 지원 대상(모두 충족)
- 출생일 기준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중인 부 또는 모
- 신청일 기준 현재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중인 부 또는 모
- 신청일 기준 출생일이 12개월 미만.
-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중인 영아.
2) 지원금
- 출산 후 제주특별자치도내 산후조리원 이용시 지출 금액의 최대 40만 원 이내 지원
3) 신청 기간
- 산후조리원 이용기간 종료 다음날부터 60일 이내
4) 신청 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Ai보단사람-
5) 제출 서류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산후조리원 이용 납부 확인 영수증
- 통장사본
이러한 지원은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산모와 아이의 건강과 가족 삶의 질 향상이라는 효과가 있습니다. 지자체에는 지역인구 유지, 사회적 신뢰형성, 경제 활성화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남녀가 만나 가정을 이루는 것만으로도 삶의 가치와 안정을 가져온다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아이가 생기니 그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아이가 태아나고 성장해 가면서, 저 또한 비로써 성인으로 조금씩 성장해 가고 있다 느낍니다.
준비가 되어있을 때 가정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가정을 이루고 삶을 완성해 가는 과정이 우리의 삶입니다. 그 가치를 돈으로 따질 수는 없지만, 이러한 제도들이 우리의 삶을 성장해 가는데 조금 더 안정적인 지원이 되고 있습니다.
여러분 가정에 아이와 함께 행복한 기운 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출산지원 #산후조리비 #지자체복지 #육아혜택 #출산장려정책 #산모복지 #대한민국복지 #지역별출산지원 #babycare #maternitypolicy #지원금 #현금지원
댓글 쓰기